
올 추석은 개천절과 주말, 한글날까지 이어지며 최장 열흘의 연휴가 가능했습니다.
연차 하루만 더하면 해외여행도 충분한 '황금 일정'이었습니다.
이처럼 공휴일과 주말이 겹치는 긴 연휴는 흔치 않지만, 앞으로 몇 차례 더 찾아옵니다.
특히 추석과 설 명절을 중심으로 달력을 잘 보면 장기 연휴를 기대할 수 있는 해들이 있습니다.
가장 가까운 장기 연휴는 3년 뒤인 2028년입니다.
추석 연휴(10월 2~4일)가 주말(9월 30일~10월 1일)과 붙고, 개천절(10월 3일)과 겹치면서 대체공휴일이 하루 생깁니다.
기본 연휴는 6일이고, 금요일(10월 6일)에 연차를 쓰면 한글날까지 이어져 최장 10일을 쉴 수 있습니다.
2031년에도 비슷한 일정이 나옵니다.
추석(9월 30일~10월 2일)과 개천절(10월 3일)이 나란히 이어지고, 앞뒤로 주말이 붙어 기본 6일 연휴가 됩니다.
월요일(9월 29일)에 연차를 내면 최장 9일이 가능합니다.

2036년은 대체공휴일이 장기 연휴를 만들어냅니다.
추석(10월 3~5일)이 개천절과 주말에 걸리며 연휴는 원래 3일밖에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금요일과 일요일이 각각 공휴일과 겹치면서 대체공휴일이 이틀 생기고, 기본 연휴가 5일로 늘어납니다.
여기에 10월 8일 하루 연차를 내면 한글날까지 이어져 일주일간 쉴 수 있습니다.
2039년에도 추석 연휴(10월 1~3일)가 일요일과 개천절에 걸쳐 대체공휴일이 이틀 생깁니다.
연휴는 5일이지만, 한글날과는 이어지지 않습니다.
2044년에는 추석 연휴(10월 4~6일)가 개천절(10월 3일)과 주말 앞에 붙으면서 기본 연휴가 6일입니다.
금요일(10월 7일)에 하루 연차를 내면, 대체공휴일이 적용된 한글날까지 이어져 최장 열흘의 연휴가 됩니다.
2047년엔 추석(10월 3~5일)이 개천절과 토요일에 겹쳐 대체공휴일이 하루 생깁니다.
연차 하루를 더하면 7일을 쉴 수 있습니다.

2050년 추석(9월 29일~10월 1일)은 주말과 개천절이 맞물리면서 연휴가 5일로 늘어납니다.
이 밖에도 주말과 겹치며 길어지는 명절 연휴는 여럿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7년 추석, 2032년 설, 2034년 추석 등은 화~목요일에 배치돼 기본 3일 연휴지만, 연차 하루를 활용하면 6일도 가능합니다.
명절 외에 5월에도 장기 연휴가 찾아옵니다.
2033년은 어린이날(5월 5일), 부처님오신날(5월 6일), 주말이 이어져 4일 연휴가 생기고, 2041년에는 어린이날 대체공휴일(5월 6일)과 부처님오신날(5월 7일)이 이어져 역시 4일 연휴가 가능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