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지방선거의 최대 격전지로 꼽히는 서울시장 선거를 두고 정치부 기자들이 "오세훈 시장에 맞설 야당 후보가 뚜렷하지 않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6일 방송된 KBC 라디오 <박영환의 시사1번지> 추석 특집에서 장윤선 취재편의점 기자는 "서울은 인구 감소와 함께 중장년층 비중이 늘며 보수 성향이 강화되는 추세"라며 "민주당이 단순한 반(反)오세훈 구도로는 승부를 보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최경철 매일신문 편집위원은 "민주당이 여론에서 거론되는 전현희 전 국민권익위원장을 유력 후보군으로 검토하는 것으로 안다"며 "전 위원장은 윤석열 정부 초기 '감사 공세'에 맞섰던 상징성 덕분에 결집력이 있지만, 확장성 측면에서는 한계가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는 또 "오세훈 시장은 장기 재임으로 안정감 이미지를 굳혔고, 대항마가 부재한 상태에서 오히려 '무난한 선택'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습니다.
정도원 데일리안 정치부장은 "서울은 상징성과 정치적 파급력이 크기 때문에 민주당이 '깜짝 카드'를 준비할 가능성이 있다"며 "홍익표 원내대표나 박용진 전 의원처럼 당내 중진이 직접 나설 수도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이에 대해 김도형 한국일보 기자는 "민주당 내부에서 '정권 견제'보다는 '서울시 변화'를 전면에 내세워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며 "청년층과 1인 가구 정책을 앞세운 새로운 인물이 필요하다는 여론이 감지된다"고 소개했습니다.
장윤선 기자는 "지금 민주당의 고민은 '이길 수 있는 인물'보다 '이길 수 있는 메시지'를 만드는 일"이라며 "세대·계층별로 민생정책을 세밀히 다루지 못하면 중도층이 돌아서기 쉽다"고 지적했습니다.
최경철 위원도 "서울 민심은 정책보다 인물의 안정감을 우선시한다"며 "민주당이 오세훈 시장의 장기 행보를 '지루함'으로 프레임화하지 못하면 승산이 낮다"고 평가했습니다.
한편 정도원 부장은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오세훈 시장의 재출마가 거의 확정적 분위기"라며 "용산과의 관계에서도 큰 이견이 없어 내부 정비에 집중하는 모습"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