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 도심에서 고등학생을 태운 구급차가 소아과 진료가 가능한 병원을 찾지 못해 결국 학생이 숨진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18일 연합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달 20일 새벽 6시 17분쯤 부산의 한 고등학교 인근에서 이 학교 재학생이 경련 증세를 보였습니다.
지나가던 시민이 이를 발견해 119에 신고했고 소방 당국이 신고 16분 만인 오전 6시 33분쯤 현장에 도착했습니다.
당시 학생은 의식이 혼미했지만 호명하면 반응할 수 있을 정도의 상태를 보였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하지만 해당 학생을 이송하기 위해 구급대원이 부산에 있는 대형 병원에 연락했으나 모두 거절당했습니다.
대형 병원 4곳은 소아신경과와 관련한 배후 진료가 어렵다는 이유로 환자를 받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구급대원은 결국 부산소방재난본부 산하의 구급상황관리센터 측에 이송할 수 있는 병원을 알아봐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해당 센터는 구급대원이 연락한 병원 3곳을 포함해 모두 8곳에 연락을 했으나 이번에도 모두 거절당했습니다.
당시 센터는 부산에 있는 병원에서 치료가 이뤄지지 않자 경남 창원에 있는 병원까지 알아봤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구급차 안에서 약 1시간 가까운 시간이 흐른 끝에 학생은 결국 심정지 상태에 이르렀고, 오전 7시 30분쯤 가장 가까운 병원으로 향했습니다.
환자가 심정지 상태일 경우 근접 병원은 해당 환자를 수용해야만 합니다.
구급차는 5분 만에 병원에 도착했지만, 학생은 끝내 숨졌습니다.
부산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당시 부산에서 병원을 찾을 수 없어 경남지역까지 이송 병원 범위를 넓혔지만, 진료할 수 있는 곳을 수 없었다"며 "학생을 실은 구급차는 환자를 받아줄 병원을 찾아 계속 이동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소아과 관련 배후 진료가 병원 현장에서 이뤄지지 않아 이송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