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이 당대표·최고위원 선거에 '대의원·권리당원 1인 1표제'를 도입하기 위한 당헌·당규 개정 의견 수렴을 실시한 결과, 86.81%의 찬성률을 보였습니다.
정청래 대표는 21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민주당도 헌법 정신인 1인 1표 원칙에 뒤늦게나마 발맞출 필요가 있다"며 "당원 주권 시대를 향한 역사적인 투표에 참여해 주신 당원들께 감사드린다"고 밝혔습니다.
정 대표는 "90%에 가까운 당원의 뜻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라며 "다양한 의견을 품되, 반대 의견 또한 당의 민주주의를 강화하는 과정으로 존중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대의라는 울타리 안에 머물던 과거의 의사결정 구조에서 벗어나, 당원 한 사람 한 사람의 뜻이 당의 미래를 결정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민주당은 지난 19일부터 20일까지 '10월 당비를 납부한 권리당원'을 대상으로 개정안에 대한 의견 수렴을 진행했습니다.
전체 권리당원의 16.81%가 참여했으며, 찬성 86.81%, 반대 13.19%로 집계됐습니다.
일부에서는 낮은 참여율을 이유로 당내 비판 여론이 반영된 것 아니냐는 해석도 제기됐습니다.
그러나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이번 투표는 의결권 행사가 아닌 단순 의견 수렴 절차임에도 비교적 높은 참여율을 기록했다"며 "무엇보다 90%에 가까운 찬성률이 핵심"이라고 확대 해석을 경계했습니다.
박 대변인은 "최근 평당원 최고위원 투표와 비교했을 때도 이번 참여율은 높은 수준"이라며 "당원 권리 강화를 위한 당내 민주주의의 진전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이번 개정안은 정청래 대표의 재선 도전과 맞물려 정치적 논란이 재점화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정 대표는 내년 8월 차기 전당대회 출마가 유력한 만큼, 이번 개정이 '당대표 직선제 강화'로 이어질 경우 직접적인 수혜를 받게 된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