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부산에서 경련 증세를 보이던 고등학생이 14차례 병원 수용을 거절당한 끝에 구급차 안에서 숨진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신고 접수 후 1시간 20분 가까이 병원을 찾지 못한 채 심정지 상태로 뒤늦게 이송돼 '응급실 뺑뺑이' 비판이 커지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양부남 의원이 22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20일 오전 6시 17분 부산의 한 고등학교에서 "학생이 경련 중이며 호흡은 있다"는 신고가 119에 접수됐습니다.
구급대는 16분 후인 오전 6시 33분 현장에 도착했을 때 환자는 의식이 혼미하고 심한 경련을 보이고 있었습니다.
중증도 분류 기준상 레벨2(긴급)로 판단된 환자는 즉시 인근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 중심으로 연락이 진행됐습니다.
그러나 오전 6시 44분 해운대백병원을 시작으로 동아대병원(6:49), 양산부산대병원(6:50), 부산백병원·부산대병원(7:00 전후) 등이 "소아 중환 불가", "소아 신경과 진료 불가" 등을 이유로 잇따라 거부했습니다.
고3 학생임에도 병원 대부분이 '소아 환자'로 분류해 진료 불가를 이유로 수용을 거절한 것입니다.
환자 처치로 손이 모자란 구급대는 부산소방 구급상황관리센터에 병원 선정 지원을 요청했습니다.
센터는 창원한마음병원, 해운대백병원, 부산대병원, 동아대병원, 부산백병원, 동의병원, 고신대학병원, 창원삼성병원 등에 추가 문의했지만 모두 거부했습니다.
녹취록에서는 "대원 3명이 환자에게 붙어 있어 손이 모자란다. 진료 가능한 병원을 찾아 달라"는 절박한 요청도 확인됐습니다.
오전 7시 25분, 환자의 의식이 급격히 저하되다 심정지 발생, 이에 중증도는 레벨1(소생)로 상향됐습니다.
하지만 7시 27분, 수보대가 부산의료원에 연락했을 때도 돌아온 답은 "소아 심정지 불가, 또다시 거부였습니다.
결국 15번째로 연락한 대동병원이 이송을 수락했고, 7시 35분 도착, 신고 후 1시간 18분 만의 병원 도착이었습니다.
환자는 끝내 숨졌습니다.
소방 측은 "응급실 도착 여부가 생존에 결정적이었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면서도 레벨2 급 환자는 더 빠른 이송과 신속한 응급진료가 예후에 유리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양부남 의원은 "응급환자가 제때 치료받지 못해 생명을 잃는 비극은 더 이상 반복돼선 안 된다"며 국회·소방·복지부·의료계가 함께 현실적 제도 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사건은 '소아 진료 공백', '병원 수용 거부', '급체계 한계'가 복합적으로 드러난 대표적 사례로 지적되며, 응급의료체계 전반에 대한 재점검 요구가 커지고 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