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혼인이 늦어지고 1인가구가 늘어나는 가운데 서울 집값 급등, 공급 부족, 강화된 대출 규제로 사회 초년생의 생애 첫 내 집 마련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24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 주택소유통계와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30대(가구주 기준) 무주택 가구는 52만 7천729가구로 집계됐습니다.
전년보다 1만 7천215가구 증가하며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5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서울 30대 무주택 가구는 2015년 47만 5천606가구에서 2018년 45만 6천461가구까지 줄었다가 이듬해부터 6년 연속 늘었습니다.
무주택가구 증가 폭은 2021년 3천가구대에서 2022년 1만 5천가구대, 2023년과 지난해 1만 7천가구대로 커졌습니다.
특히 작년 증가 폭은 역대 가장 컸습니다.
반면 서울의 30대 집주인은 3년째 줄고 있습니다.
지난해 서울 30대 주택 소유가구는 18만 3천456가구로 전년보다 7천893가구 감소해 역대 가장 적은 수준이었습니다.
무주택 가구가 주택 소유가구보다 2.9배로 많아 그 격차는 역대 가장 큰 수준으로 벌어졌습니다.
서울 30대 주택 소유가구는 2015년 23만 7천가구 수준에서 꾸준히 줄다가 2021년 소폭 늘었습니다.
이후 다시 감소해 2023년(19만 1천349가구) '20만 선'이 무너졌습니다.
무주택 가구는 늘고 주택 소유가구는 줄면서 주택 소유율은 낮아졌습니다.
지난해 서울의 30대 가구 가운데 주택 소유가구의 비중을 뜻하는 주택 소유율은 25.8%를 기록했습니다.
서울 30대 주택 소유율은 2015년 33.3% 수준이었으나 2020년 30.9%까지 떨어졌고 2021년(31.2%) 소폭 반등한 뒤 2022년(29.3%) 다시 하락해 지난해 25%대까지 내려왔습니다.
전국 30대 주택 소유율은 36.0%로 6년째 하락해 마찬가지로 역대 최저치를 나타냈지만 서울과는 10%포인트(p) 이상 차이가 납니다.
서울 집중과 서울 중심의 집값 급등이 청년층 자가 마련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입니다.
취업과 결혼 시기 지연이 주택 매입 시기를 늦추는 점도 한 요인으로 분석됩니다.
서울은 특히 1인 가구가 많다 보니 주택 소유율이 낮아지고 있다고 데이터처 관계자는 설명했습니다.
정부가 올해 내놓은 초강력 부동산 정책으로 주택시장 진입장벽이 더욱 높아졌을 것이란 관측도 나옵니다.
주택담보대출비율(LTV) 등 대출 규제 강화로 현금 부자만 내 집 마련이 가능하다는 청년층 자조도 커지고 있습니다.
청년층은 1인가구라도 주거 안정과 자산 형성을 위한 내 집 마련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토지주택연구원이 지난달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만 19∼39세 청년 무주택 1인 가구 700명을 대상으로 작년 8∼9월 설문한 결과 응답자의 83.2%가 '향후 내 집 마련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습니다.
청년 주거 안정을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 정책으로는 '주택 구입자금 지원'(24.3%)과 '전세자금 지원'(22.3%)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공공임대주택 공급'(18.6%), '공공분양주택 공급'(14.4%) 순이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