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취임 후 처음으로 여수산단을 방문한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연말이 시한인 자구안 제출을 압박했습니다.
기업에 부담이 되는 산업용 전기 요금에 대한 검토도 약속했습니다.
김정관 장관은 26일 여수국가산단에서 '여수 석유화학기업 사업재편 간담회'를 열고 "정부가 발표한 관련사업재편계획서 제출 기한은 다음 달 말"이라며 "이 시한을 맞추지 못한 기업들은 정부 지원에서 제외되고 향후 대내외 위기에 대해 각자도생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기한 연장 계획은 없다"고도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대산산단이 석화 사업재편의 포문을 열었다면, 여수산단은 사업재편의 운명을 좌우할 것"이라며 나프타분해시설(NCC)을 보유한 기업들의 신속한 사업재편이 절실하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앞서 정부는 지난 8월 여천NCC와 롯데케미칼, LG화학, GS칼텍스, 한화솔루션 등 여수산단 입주기업을 포함한 석유화학 업체 10곳과 사업재편 자율 구조조정 협약을 맺고, 연말까지 제시하도록 했습니다.
정부는 연말까지 석유화학기업들이 사업재편계획서를 제출하면 사업재편 심의 절차에 착수할 방침입니다.
또, 사업재편계획서의 구체성과 자구노력의 타당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사업 승인 시점에 정부 지원 방안도 함께 발표할 계획입니다.

김 장관은 사업재편 간담회에 앞서 LG화학 산업 현장을 시찰해 안전 사항을 점검하고, 산단 내 석유화학·철강 유관 기업들과도 만나 업계 장기 불황에 따른 애로사항을 청취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기업들은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에 따른 부담과 함께, 석유화학 특별법의 조속한 제정과 대미 투자 관련 원활한 미국 비자 발급, 해외 플랜트 공사 수주 시 국책 보증 은행 한도 증액 등을 촉구했습니다.
이에 김 장관은 "전기요금 인상으로 인한 기업 부담에 대해 엄중히 인식하고 있다"며 "향후 요금조정은 산업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등이 충분히 고려될 수 있도록 전력 당국과 협의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21일 국회 상임위원회를 통과한 석유화학 특별법은 내년 상반기 시행을 목표로 준비하고 있다고도 했습니다.
김 장관은 이날 오후 여수 소노캄호텔에서 열리는 제4회 KBC 미래포럼에 참석해 제조업 위기 속 돌파구 마련을 위한 주요 논의들을 청취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