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당원주권 강화를 내세우면서 20여 년 만에 지방선거 경선룰에 대한 대대적 개정 작업에 들어갔습니다.
지방선거에서 광역단체장을 제외한 기초단체장과 지방의원 공천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해 왔던 시·도당의 역할도 축소가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이형길 기잡니다.
【 기자 】
민주당이 지방선거를 앞두고 권리당원 권한 강화를 위한 당헌·당규 개정에 들어갔습니다.
대의원과 권리당원을 모두 1인 1표로 바꾸겠다는 안이 대표적입니다.
또 기초·광역 의원 비례대표 선정을 시도당이 아닌 권리당원에게 맡기고, 권리당원 100%를 반영하는 예비경선을 도입하는 안도 포함돼 있습니다.
비례대표 선정 권한과 예비경선 도입은 사실상 시·도당과 현역 국회의원의 영향력 약화를 불러올 수밖에 없습니다.
또 1인 1표제로 당이 목소리 큰 소수에 이끌려 다닐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 싱크 : 박원석 / 전 국회의원 (KBC시사1번지)
- "정당이라는 것이 게이트키핑 기능이 무너질 수가 있거든요. 지금 민주당의 의사결정 구조는 상당 부분 외부의 인플루언서에 의해서 흔들릴 가능성이 높아요."
이같은 논란 속에 민주당은 당초 28일로 예정된 당헌 당규 개정을 위한 중앙위 소집을 일주일 연기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당원주권 강화가 정청래 대표의 연임을 위한 포석이라는 해석도 나오면서 지도부가 안을 밀어붙이기에는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싱크 : 이종훈 / 정치평론가 (KBC시사1번지)
- "이재명 당에서 정청래 당으로 만들어 가려고 하는 과정인 것은 이제 분명해 보이고 그런데 제가 보기에는 너무 서두르는 것 아닌가"
이번 당헌 당규 개정이 당원주권 강화를 내세우고 있지만 사실상 당내 주도권 싸움으로 변질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KBC 이형길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