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흥군이 수백억 원대 산림사업을 장흥군산림조합에 몰아주고, 면세 사업임에도 수억 원의 부가가치세를 관행적으로 지급해 온 사실 전해드렸는데요.
이번에는 장흥군이 조성한 '미세먼지 차단 숲'의 일부가 애초 사업 목적과 다르게 만들어져 논란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양휴창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장흥군은 산림사업 대부분을 장흥군산림조합과 수의계약을 체결했고, 면세사업에 관행적으로 부가세를 지급해 왔습니다.
장흥군 장흥읍의 한 마을 인근에 조성된 이 숲도 장흥군산림조합에 12억여 원의 수의계약을 체결해 만들었습니다.
1.4ha 규모의 부지에 광나무 등 2만 2천여 그루를 심어 산단으로부터 발생하는 대기 오염을 차단하겠다며 '미세먼지 차단 숲'을 만든 겁니다.
그런데 숲은 오염원인 폐수처리장으로부터 약 2km나 떨어져 있고, 산단 중심지와도 1km 넘게 떨어져 있습니다.
주거 밀집 지역에서 한참 벗어난 숲은 제 기능을 하기 어렵습니다.
게다가 해당 산단은 바이오식품 산업단지로 음·식료품 업종이 절반 이상 입주해 있는데, 다른 화학 산업 단지에 비하면 미세먼지 발생량이 현저히 낮습니다.
다른 장소에 조성된 숲은 더 이상합니다.
▶ 스탠딩 : 양휴창
- "장흥군은 미세먼지 차단 숲을 태양광에 반사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성하기도 했습니다. "
4,500만 원을 들여 나무 40여 그루를 심었는데, 마을에 반사되는 빛을 막는다는 건 본래 사업 목적과는 어긋납니다.
게다가 인근 마을 주민들은 심어진 나무가 빛을 차단하는 역할마저 제대로 하지 못한다고 말합니다.
▶ 인터뷰 : 화산마을 주민
- "저게 (햇빛을) 가리면 얼마나 가린다고. 태양광 저기한다고 나무로 가려지겠소 햇빛이."
전문가는 해당 산단 바로 인근에 조성된 숲은 적절하지만, 다른 목적으로 조성된 숲이나 거리가 먼 곳은 부적절하다고 말합니다.
장흥군이 지난해까지 '미세먼지 차단 숲'에만 들인 돈만 약 50억 원.
숲이 본래 목적에 맞는 효과를 내고 있는지 정확한 검증이 필요해 보입니다.
KBC 양휴창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