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해상풍력 기획보도 두번째 순서입니다.
해상 풍력 사업의 속도를 결정짓는 건, 어촌계 주민들의 동의입니다.
전남에선 어업 피해 공개를 요구하는 반발이 이어져 왔는데요.
영국은 이 문제를 투명한 협의와 보상·일자리로 풀었습니다.
전남형 해법을 신대희 기자가 짚었습니다.
【 기자 】
▶ 싱크 : 영광군 어민회 (지난 7월 11일 국회)
- "(공유수면 사용 허가를) 반려하라. 반려하라. 반려하라."
영광군 어민들이 기존 해상풍력 사업을 멈추고, 어촌과 상생할 협의체부터 만들자고 요구했습니다.
보상이 불공정하고, 어업 피해 조사 내용이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
정부도 어민들의 의견을 반영해 해상풍력 특별법 절차를 손봤습니다.
사업 초기부터 민·관 협의회를 만들고, 협의 결과를 문서로 남기도록 했습니다.
어업 영향 조사, 보상, 안전 대책은 사업 계획에 의무적으로 반영됩니다.
영국은 한 발 더 갔습니다. 어업 정보와 피해 산정·보상 방식을 표준 계약서에 담아 분쟁을 줄였습니다.
풍력단지 주변 마을에 공익 기금을 지원하고, 전기 요금을 줄여주는 혜택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브라이언 아처 / 레드카 & 클리블랜드 자치구의회 상무이사
- "지역의 전폭적 지지를 얻는 유치 투자와 전환을 이루려면, 모든 이해관계자가 요구하는 안전장치와 확실한 보장을 갖춰야 합니다."
영국은 풍력 산업 정비와 해상 안전 분야의 일자리를 늘려 지역민을 채용했고, 관련 교육과 실습도 지원합니다.
▶ 스탠딩 : 신대희 (신안 전남해상풍력단지 앞바다)
- "해상 풍력은 지역과 함께 크는 산업입니다. 지역민이 납득할 수 있는 투명한 절차와 이익 공유가 있어야 바람이 일자리로 바뀝니다."
전남에서도 해상 풍력 발전 수익을 연금이나 지역 화폐로 공유 중인데, 보상안을 더 촘촘하게 만들면 분쟁을 줄일 수 있습니다.
현재 가동 중인 신안과 영광의 해상 풍력단지와 겹치는 어장에 대해선, 현장 조사와 함께 수산업 피해가 없게 소통을 확대해야 합니다.
협의는 빠르게, 보상은 명확하게, 어장은 지키는 방향으로 연결할 때 해상 풍력에 속도를 낼 수 있습니다.
KBC 신대희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