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CNN방송은 12일(현지시간) "한국이 미국 동맹국들의 핵심 무기 공급자가 됐다"라며 폴란드에 대한 무기수출 사례를 거론하며 싱크탱크들의 진단을 인용해 해설했습니다.
방송은 미국이 이스라엘·우크라이나 등에 대한 계속된 무기 지원으로 조금씩 무기 비축량이 고갈되는 상황에서 무기가 필요한 미국의 동맹국들에 한국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고 전했습니다.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의 2024년 보고서에 따르면 직전 5년 사이 한국의 무기 수출 규모는 세계 10위 수준으로 뛰어올랐습니다.
이 기간 한국 무기 수출액의 46%는 폴란드, 필리핀(14%), 인도(7%) 등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미국 싱크탱크 스팀슨센터는 작년 보고서에서 미국의 대안으로써 한국이 주목받는다고 분석하면서 가까운 미래에 미국 자신에도 한국의 중요도가 조명받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스팀슨센터는 보고서에서 "한국의 방위산업 역량, 특히 무기·조선 분야의 성장이 미국을 직접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잠재력이 된다"라고 강조했습니다.
CNN은 이런 분석을 전하면서 한국의 조선업이 강점이라면서 미국이 한국의 조선 업계와 해군 지원 함정의 유지보수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날 기사에서는 한국산 무기로 군사력을 증강한 폴란드가 유럽의 군사 강국으로 떠오르고 있다는 평가도 뒤따랐습니다.
폴란드는 이웃 나라인 우크라이나에 구소련 시절 탱크 300대와 보병전투차량 350대 등을 대거 지원한 바 있습니다.
폴란드의 최근 대규모 무기 구입 계약은 그 공백을 한국산 무기 수입으로 확충하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
CNN에 따르면 폴란드 국방부가 이달 초 한국산 K2 탱크 180대 등을 67억 달러(약 9조 원) 도입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계약에는 지원 차량 80대와 포탄, 물류, 폴란드군 훈련 패키지 등이 포함됐고 계약은 공식 서명을 앞두고 있습니다.
CNN은 현대로템이 생산하는 한국산 K2 전차가 세계 최강의 주력 전차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며 폴란드가 궁극적으로 기갑 차량 규모를 1천 대로 늘릴 방침이라고 전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