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광산구 직영복지시설 비정규직 직원들의 고용 형태 전환을 두고 설왕설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 시설들을 하나의 재단으로 통합한 뒤 이들을 특별경력직으로 다시 채용한다는 구상인데, 역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조경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광산구는 복지 서비스의 질과 행정 효율을 높이기 위해 5개 직영 복지시설을 통합해 하나의 복지재단 설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시설 비정규직 직원들의 고용 안정 문제가 화두로 떠올랐습니다.
광산구는 재단 설립 이후에 이들을 특별 경력직으로 채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싱크 : 광산구청 관계자
- "안정된 재단이라든지 설립이 되면 종사자들이 함께 고용 안정할 수 있는 방안으로 마련해 주십사 하는 간곡한 호소가 요청되었습니다"
하지만 시설 노조 측은 믿을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재단 정원을 조례와 정관에 명시하겠다는 구청의 계획이 고용 승계를 보장한다고 보기 어렵다는 겁니다.
또 광산구가 채택한 재단 설립 촉구 주민 탄원서도 중복 서명이 여럿 발견된 점도 양측의 신뢰를 저해하고 있습니다.
현 체제에서 비정규직을 먼저 정규직화하고 이후에 재단 설립을 논의해도 늦지 않다는 의견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 인터뷰 : 정숙 / 공공운수노조 광산구사회복지시설 지회장
- "복지재단 설립을 전제로 한 토론이 아니라 종사자, 의회, 행정, 주민 등 관련 모든 주체들과 함께 광산구 복지 체계 전반에 대한 성찰과 대안을 마련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라는 목표는 같지만 고용 승계 방법과 재단 설립을 두고 광산구와 노조가 이견을 보이면서 결과가 도출될 때까지 진통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KBC 조경원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