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전남 도내 벼 재배면적이 14만 2천443ha로 전년(14만 7천738ha)보다 5천295ha가 줄어, 전국 최대 감축 면적으로 산지 쌀값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5년 벼 재배면적 조사 결과에 따르면 벼 재배면적 감축 규모는 시·도별로 ▲전남 5천295ha ▲충남 4천515ha ▲전북 3천629ha ▲경북 2천723ha ▲경남 2천254ha 순으로, 전남이 전국 1위를 차지했습니다.
전국적으로는 약 2.9%로 2만 199ha가 줄었습니다.
전남 지역은 8개 시·도 중 최대 감소폭인 3.6%를 기록해 전국 최대 감소 폭과 감소 면적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올해 벼 적정생산을 통한 쌀값 상승의 주요 배경으로 풀이됩니다.
정부는 올해 쌀값 안정을 위해 전국 벼 재배면적을 8만ha 감축하는 '벼 재배면적 조정제'를 대대적으로 시행했습니다.
이에 따라 전남도는 논에 벼 대신 논콩, 가루쌀, 조사료 등 대체 작물을 집중 육성해 농업인의 소득과 농경지 면적은 유지하면서 벼 재배면적을 감축하는 정책을 추진했습니다.
특히 전남도는 논 타작물 전환 농가의 안정적 영농을 위해 ▲논 타작물 임대농기계 구입지원(67대, 17억 원) ▲논 타작물 재배지원(1천500ha, 30억 원) ▲조사료 재배단지 (200ha, 2억 원) ▲논콩 전문단지 조성 (8개소, 21억 원)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습니다.
그 결과 5일 현재 산지 쌀값은 80kg 기준 전년(18만 2천700원)보다 4만 5천116원이 높은 22만 7천816원을 기록했습니다.
유덕규 전남도 식량원예과장은 "쌀값 상승의 일등공신은 평생 벼농사를 지어오다 논콩·조사료 등으로 전환해준 농업인"이라며 "벼 재배농가와 논 타작물 재배농가가 모두 '윈-윈'하도록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벼 재배면적을 감축한 전남도는 2026년 정부 공공비축미 인센티브 물량, RPC 벼 매입자금, 고품질쌀 유통활성화 공모사업 등에서 가점 혜택을 받을 예정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