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가 조선왕실 공예품 등 국가유산에 이어 한국 현대미술 거장들의 작품까지 국가기관으로부터 대여한 사실이 드러난 것과 관련해 "공공재 사유화의 끝은 어디인가"라고 지적했습니다.
박경미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에서 "윤 부부가 국립현대미술관으로부터 윤형근, 김창열 화백 등 한국 추상미술 거장들의 고가 작품 95점을 대여한 사실이 확인됐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전날(14일) 김준혁 민주당 의원실이 미술은행·정부미술은행 대여 목록, 대통령비서실이 국립현대미술관에 보낸 공문 등을 제출받아 분석한 결과, 윤 전 대통령 당시 대통령비서실은 2022~2025년 국립현대미술관(국현)에서 작품 95점을 무상 대여했습니다.
미술은행은 국립현대미술관이 직접 구매한 작품으로 기본적으로, 유상 대여가 원칙입니다.
정부미술은행은 문화체육관광부 소장 작품을 국립현대미술관이 위탁관리하고 있으며, 주로 정부 부처 또는 기관에 무상 대여합니다.
대통령비서실은 이 두 곳의 보유 작품을 모두 '환경조성' 목적으로 무상 대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윤 화백과 김 화백 등의 작품들은 미술품 거래 시장에서 적게는 수억 원, 많게는 수십억 원에 거래될 정도로 인기가 높습니다.
특히 윤형근 화백의 작품은 방탄소년단 멤버 RM이 가장 선호하는 작가·작품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박 대변인은 "조선 왕실 공예품에 이어 한국 추상미술의 정수(精髓) 마저 사적으로 유용한 것"이라며 "관저 내 사적 공간에 전시됐을 개연성이 높아 보인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특히 장기 대여 목록에 김건희의 선호가 반영된 추상화 작품이 대거 포함돼 있다"며 "개인적인 '취향 저격'을 위해 공공 자산을 마치 개인 '컬렉션'인 양 이용한 것은 전형적인 특권의식의 발로이다"라고 비판했습니다.
박 대변인은 "민주당은 공공 자산을 제왕적 방식으로 유용하고, 국민의 문화적 권리를 박탈한 이 사태에 대해 끝까지 책임을 묻고 모든 진상을 밝힐 것이다"라고 강조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