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의 미래 전략 공기 산업.."기업 투자 유치 관건"

작성 : 2019-09-01 19:18:16
Video Player is loading.
Current Time 0:00
Duration 0:00
Loaded: 0%
Stream Type LIVE
Remaining Time 0:00
 
1x
    • Chapters
    • descriptions off, selected
    • subtitles off, selected

      【 앵커멘트 】
      광주의 가전 산업은 자동차 분야와 함께 지역 제조업의 쌍두마차 역할을 해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연이어 생산라인이 노동력이 싼 해외로 이전하면서 위기감도 커지고 있습니다.

      광주시가 새로운 대안으로 '에어가전' '공기산업' 육성을 내세우고 있는데요.

      이 분야의 전망과 지역 주력 산업으로 키우기 위한 과제는 무엇인지 이형길 기자가 살펴봤습니다.

      【 기자 】
      광주의 가전산업은 지난 2010년 6조원 어치의 물량을 생산한 것을 정점으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대기업들의 생산라인 이전입니다.

      삼성이 2011년 이후 저가형 가전 생산라인의 점진적 해외 이전을 시작했고, 동부대우도 2015년부터 중국 이전을 시작했습니다.

      주요 가전 협력업체 매출도 연 평균 5%에서 8%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제조업 분야의 한 축이 흔들리자 광주시는 미래 전략 산업으로 '공기산업' 육성에 들어갔습니다.

      ▶ 인터뷰 : 김운섭 / 광주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 부장
      - "에어가전 산업이라는 기반이 있기 때문에 그 산업을 기반으로 공기산업을 활성화한다면 훨씬 타 지역에 비해 경쟁력을 가지는"

      우선 LG전자와 협약을 맺고 친환경 공기산업 관련 지역기업을 육성책을 내놨습니다.

      또 2025년까지 사업비 3,500억원을 투입해 평동산단에 공기산업 클러스터 조성계획도 밝혔습니다.

      기반 계획은 수립됐고 결국 대기업의 투자와 새로운 기업 유치가 관건입니다.

      ▶ 인터뷰 : 김영수 /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일정 정도 도시 규모는 갖추고 있기 때문에 전문 서비스 기능과 지식의 창출과 확산 시스템을 잘 갖추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기존 가전 시장의 포화로 기업들의 관심도 이제 에어가전과 같은 새로운 가전 시장으로 쏠리고 있습니다.

      대기업들의 새로운 투자를 광주로 이끌 수 있는 전략적 혜택 제공 등도 고려돼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kbc 이형길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

      1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