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1주년을 기념하는 전국 학술 심포지엄이 개최됩니다.
광주광역시교육청은 오는 29일 오전 10시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콘퍼런스홀에서 '한강, 광주를 읽다: 고통과 치유의 서사를 넘어 세계 시민으로 성장하는 학생 교육의 길'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열 예정입니다.
심포지엄에는 학생과 교원, 교육 관계자, 문학 연구자 및 평론가, 시민 등이 참여해 한강 작가의 문학 세계를 심층 조명하고 학생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게 됩니다.
행사는 전 전국국어교사모임 안병만 이사장의 기조 강연 '한강 문학, 작가 한강'을 시작으로 한강 문학에 대한 해설서를 쓴 이석중·강정한 교사와 황문희 장학관의 주제발표 순으로 진행됩니다.
안 이사장은 한강 소설에서 인간 삶의 연약함과 치유, 그리고 작품 모티브인 '꿈'에 대해 소개합니다.
이석중 강연자는 '한강 문학에 나타난 고통과 치유의 서사 미학, 소설 '소년이 온다'를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5·18 민주화운동과 소년 동호의 이야기를 분석합니다.
제주교육청 정책기획과 황문희 장학관은 '잊혀지지 않는 '기억'의 서사: 한강 '작별하지 않는다'에 나타난 제주와 애도의 방식'을 주제로 깊이 있는 통찰을 나눌 예정입니다.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집필자인 강정한 강연자는 '조각난 서사, '흰'의 빛: 한강 '흰'이 탐구하는 고통 속 인간 존엄과 섬세한 치유의 미학'을 통해 인간 존엄과 치유의 미학을 조명하게 됩니다.
주제 발표 이후에는 '한강 문학을 활용한 비판적 독서 교육 방안'을 주제로 종합 토론이 이어집니다.
이 자리에서는 '소년이 온다' 등 주요 작품 독서 토론 및 글쓰기 지도, 초·중등 독서 교육에서의 한강 문학 접근법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심포지엄에는 선착순 120명이 참여할 수 있으며, 신청은 포스터 QR코드 및 온라인 링크(https://buly.kr/AwgIWb6)을 통해 접수 받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