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재광 앵커: 김건희 씨 "내가 남편과 다시 같이 살 수 있을까. 우리가 다시 만날 수 있을까" 무슨 유행가 가사 같기도 한데 어떻게 보셨어요?
▲용혜인 대표: 이것도 저는 어떤 본인들 서사에 동정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한 전략적인 발언이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그런 면에서 크게 평할 가치가 없는 말이었다고 생각하는데요. 자꾸 이런 어떤 동정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한 그리고 어떤 스토리라인을 부여하기 위한 시도들에 이제 같이 장단을 맞춰 줄 필요는 없겠다. 이런 생각이 듭니다.
또 한편에서는 이것이 이제 국정농단 의혹, 여러 비위 사실, 그리고 여러 비리, 불법 혐의들을 남편에게 돌리려고 하는 것이 아니냐고 하는 해석들도 나오고 있는데요. 저는 그 해석도 일견 합리적인 해석이라고 이해를 하고 있습니다.
실제로도 검찰 조사에서 김영선 공천과 관련해서 명태균 씨와 직접 통화했던 사실을 인정을 하면서 '윤석열이 김영선을 해준다'라고 전달을 했으니, '명태균에게 전화해 달라고 해서 자기가 전화한 것이다'라는 취지로 진술을 하지 않았습니까.
결국에는 '윤석열의 공천 개입이 사실이라는 것을 입증함과 동시에 그것의 책임이 나에게 있지 않다'라고 하는 것을 만들려고 했던 것이라고 이해할 수밖에 없고.
동시에 '내가 남편과 다시 살 수 있을까'라는 말은 그 모든 책임을 남편이 다 지는, 법정에서의 사법적인 책임도 (남편이) 지게 될 것이라는 것을 내포하고 있는 거라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유재광 앵커: '남편과 다시 같이 살 수 있었을까'가 '남편이 영원히 감옥에 있을 것 같다' 그런 뜻이라는 말씀인 건가요? 그럼.
▲용혜인 대표: 실제로 내란죄 그리고 저는 더 나아가서 군사반란죄 적용을 해야 된다고 생각하는데요. 실제로 국정조사에서도 그런 논의를 많이 하기도 했고요. 군사반란죄와 내란 우두머리 같은 경우는 최소가 무기징역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내란 수괴로서 윤석열 씨는 이제 바깥 공기를 쐬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예측하는 것이 저는 법리적으로 봤을 때 되게 타당하고 상식적인 예측이라고 생각합니다.
△유재광 앵커: 그러니까 '남편에게 책임을 떠넘기는 측면이 있다'라고 말씀을 하셨는데. 말씀하신 대로 일각에서는 가스라이팅 아니냐. 그러니까 내란 우두머리는 어차피 사형 아니면 무기징역인데 '여보, 나 당신 사랑해. 당신이 다 떠안고 가' 뭐 이런 거 계속 암시를 주는 거 아니냐. 그런 얘기들을 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그건 어떻게 보세요?
▲용혜인 대표: 그렇더라도 근데 이제 국민들은 그런 김건희 윤석열의 어떤 쇼윈도 연출에 속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고요. 중요한 것은 각자가 벌인 여러 불법적 행위에 대해서 각자가 합당한 책임을 지는 것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유재광 앵커: 남편에게 떠넘기려고 해도 떠넘길 수가 없다 그런 말씀인 거네요.
▲용혜인 대표: 네. 이미 많은 사실들이 드러나고 있지 않습니까. 서희건설에서 목걸이를 받은 것도 본인이 직접 받은 거였고 옛날에 그 명품백을 받았던 것도 본인이 직접 받았던 것이 영상을 통해서 다 드러나지 않았습니까.
네이버 다음카카오 포털 및 유튜브 검색창에 "여의도초대석"을 치면 더 많은 콘텐츠를 볼 수 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