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절반 "내 집 없이 전·월세 산다"...무주택 가구 1천만 육박

    작성 : 2025-08-17 22:24:55 수정 : 2025-08-18 00:06:27
    ▲ 서울 서초구 한 코리빙하우스 앞에 설치된 '방 있어요' 안내판 [연합뉴스]

    내 집 없이 전·월세살인 중인 가구가 1천만에 육박하는 가운데, 이 중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7개 시도 중 서울은 유일하게 무주택 가구 비율이 절반을 웃돌았습니다.

    1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주택소유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전국 무주택가구는 961만 8,474가구로 집계됐습니다.

    전년(954만 1,100가구)보다 약 7만 7천가구 늘어난 것으로 전체 가구(2,207만가구)의 43.6% 수준입니다.

    무주택가구는 가구원 중 단 1명도 주택을 소유하지 않는 가구로, 자가 주택이 없어 전세나 월세를 살고 있는 가구라는 뜻입니다.

    무주택 가구는 2020년 처음 900만 가구를 넘어선 뒤 2년 만에 950만 가구를 넘어섰습니다.

    집값 상승에 더해 청년·고령층 저소득 1인 가구가 늘어난 점이 주된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지역별로는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의 무주택 가구 수가 506만 804가구로 전체의 절반을 넘었습니다.

    경기 지역이 238만 2,950가구로 17개 시도 중 가장 많았고 서울이 214만 3,249가구로 뒤를 이었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의 무주택 가구 증가세가 뚜렷했습니다.

    2023년 서울 무주택 가구는 서울 지역 전체(414만 1,659가구)의 51.7%를 차지했는데, 17개 시도 중 무주택 가구 비율이 50%를 넘는 곳은 서울이 유일합니다.

    2021년 51.2%였던 서울 무주택가구 비율은 2022년 51.4%를 기록한 뒤 2023년까지 2년째 올랐습니다.

    전국 시도 중 2년 연속 '나홀로' 상승세입니다.

    반면 나머지 16개 시도는 무주택 가구 비율이 50%를 밑돌았습니다.

    전년과 비교해 2023년 무주택 가구 비율이 상승한 곳은 울산·강원도 2곳이었고 나머지는 보합 혹은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서울이 나머지 지역보다 무주택 가구 비율이 높고 최근 상승세가 뚜렷한 건 서울과 지방 간 집값 격차가 반영된 결과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서울 지역은 이른바 '강남 불패론' 탓에 매년 투자 수요가 몰리면서 집값이 뛰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이 지난 6월 공개한 '최근 주택시장의 특징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1월 이후 올해 4월까지 서울 지역의 주택매매가는 16.1% 상승했습니다.

    반면 같은 기간 비수도권 주택매매 가격은 1.7% 떨어졌습니다.

    2002년부터 2021년까지 약 20년간 서울 지역의 집값 상승률은 419.42%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집값을 밀어올리는 요인 중 하나는 식지 않은 부동산 투자 열기입니다.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3년 6월까지 주택 구매 건수가 가장 많은 상위 1천명이 사들인 주택은 총 4만 4,260채로 1인당 무려 44채 꼴이었습니다.

    집값은 상승 곡선을 그리지만 가구 소득·자산이 늘어나는 속도는 상대적으로 느린 모습입니다.

    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서울의 주택구입물량지수는 3.0이었습니다.

    2012년 32.5이었지만 10년 만에 10분의 1 수준으로 쪼그라들었습니다.

    주택구입물량지수는 중위소득 가구가 보유한 순자산과 소득을 기준으로 대출을 끼고라도 살 수 있는 아파트 수 비율을 뜻합니다.

    다시 말해 중위소득 가구가 살 수 있는 가격 범위의 주택이 2012년엔 서울 주택 3채 중 1채에서 10년 만에 100채 중 3채로 급감했다는 뜻입니다.

    서울 중심의 무주택 가구 증가세는 서울 집값이 강세를 보인 작년과 올해에도 이어졌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입니다.

    정부가 지난 6월 서울 집값 과열을 차단하기 위해 수도권 주택담보대출을 6억원으로 제한하는 초고강도 대출 규제 정책을 내놨지만 대출에 일부 의지해 내 집 마련을 계획한 실수요자들이 피해를 봤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서울의 높은 집값은 전월세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높은 집값과 고강도 대출 규제로 내 집 마련 계획을 미룬 서민들이 설상가상으로 높은 주거비 부담을 짊어져야 한다는 뜻입니다.

    서민들의 전월세 부담이 서울을 중심으로 커지면서 임대사업자들의 소득도 지역별 양극화가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2023년 귀속분 1인당 부동산 임대소득은 1,774만원으로 전년(1,768만원)보다 소폭(0.3%) 상승했습니다.

    반면 같은 기간 서울 지역의 1인당 임대소득은 2,408만원에서 2,456만원으로 2.0% 오르며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

    1인당 부동산 임대소득이 2천만원을 웃도는 지역은 17개 시도 중 서울이 유일했습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