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온도 상승으로 25년 뒤인 2050년 바지락 생산량이 절반 넘게 감소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13일 한국기후변화학회에 따르면 정필규 국립부경대 자원환경경제연구소 연구원은 최근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바지락 생산량 변화와 경제적 피해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정 연구원의 분석 결과 고탄소 시나리오를 가정할 때 2041∼2050년 바지락 생산량은 2000∼2022년 대비 52%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중탄소 시나리오에선 생산량이 37.9% 감소합니다.
저탄소 시나리오에서 29.2% 감소했습니다.
탄소배출을 줄이는 경우 바지락 생산량이 감소하긴 하지만 감소율은 낮아졌습니다.
시나리오는 '온실가스를 현재 수준으로 배출하는 경우'(SSP5-8.5·고탄소 시나리오), '탄소를 서서히 줄여가는 경우'(SSP2-4.5·중탄소 시나리오), '2070년께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경우'(SSP1-2.6·저탄소 시나리오) 바지락 생산량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전망했습니다.
국내에서 가장 많이 잡히는 조개가 바지락인 만큼, 생산량 감소가 가져오는 경제적 피해도 클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바지락 가격을 2013∼2022년 평균인 1㎏당 3,015원으로 계산할 때 생산량 감소에 따른 국내 어민들의 잠재적 손실은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460억 7,000억 원, 저탄소 시나리오에서 258억 8,000만 원으로 추산됐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