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5년 사이 남성 난임 환자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난임이 더 이상 여성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남인순 의원(더불어민주당·서울 송파병)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난임 진단자는 2020년 22만 8,618명에서 2024년 30만 401명으로 31.4% 늘었습니다.
특히 남성 난임 진단자는 7만 9,176명 → 10만 8,358명(36.9% 증가)으로, 여성(28.5%)보다 증가율이 8.4%포인트 더 높았습니다.
남성 난임은 2024년에만 전년 대비 19.5% 급증해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증가폭을 기록했습니다.
보건복지부가 제출한 '난임 부부 지원 현황'에 따르면, 난임 시술 지원 건수는 2020년 9만 1,939건 → 2024년 22만 3,012건(142.6% 증가)으로 크게 늘었습니다.
지원 예산도 같은 기간 412억 원에서 1,457억 원으로 3.5배 확대됐습니다.
복지부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체외수정 임신 성공률은 30.9%, 인공수정 성공률은 17.5%로 집계됐습니다.
정부는 지난해 11월부터 난임치료 지원 기준을 완화해, 시술 횟수를 '1인당 25회'에서 '출산당 25회'로 확대하고, 45세 이상 여성의 본인부담률을 50%→30%로 인하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