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kbc 라디오 '박영환의 시사1번지'에 출연한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민주당의 장관 임명 강행 움직임에 대해 "하고 싶다면 하라"며 "이재명 대통령의 레임덕이 빨라질 것이다"고 경고했습니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의원들이 보좌진을 그냥 그 사람이라기보다는 소모품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며 "(강선우 의원은) 마음에 안 들면 갈아치우고, 아이디어가 필요하면 뽑아 쓰는 식으로 인간에 대한 존중이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정군기 동국대 객원교수는 "보좌관들이 증언에 나서면서 강선우 의원이 거짓말 한 게 드러나고 있다"며 질타했습니다.
이어 "조선시대로 치면 공노비가 있고 사노비가 있다"며 "자신의 보좌관들은 공노비인데 내가 잠깐 사노비 역할을 시킨 게 뭐가 잘못이냐 이런 개념이었던 것 같다"며 직격했습니다.
정 교수는 "아무리 이재명 대통령이 어려울 때 힘을 받고 이불까지 덮어주는 그런 극진한 아첨을 받았다고 하지만 이런 분들은 빨리 퇴진시키는 것만이 이재명 정부가 사는 길이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하헌기 전 더불어민주당 상근부대변인은 "청문회가 운동회는 아니다"라며 "이 건은 여당이 무조건 방어해야 할 일은 아닌 것 같다"고 지적했습니다.
하헌기 전 상근부대변인은 "여가부는 기능이 문체부나 기재부와 다르게 약자 권익 신장 기능을 하는 곳이다"며 "그래서 이 의혹은 사실이라면 치명적이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습니다.
하 전 상근부대변인은 "청문회 때 어디 어디서부터 어디까지가 사실이고 어디서부터 어디까지가 오해고 이런 것들을 좀 명백하게 밝힐 필요가 있다"면서도 "만약에 지금 나오는 것들이 사실이라면 여가부 장관을 하면 안 될 것 같다"고 잘라 말했습니다.
김두수 개혁신당 연구원 부원장은 "일단 좀 적절한 인사는 아닌 것 같다"며 "자기와 가까운 사람에게 존중과 존경을 못 받는 사람이 어떤 공적인 일을 잘 할 가능성은 없다"고 질타했습니다
김두수 부원장은 "인수위 없이 정부가 시작되고 이제 급히 하다 보니까 이 검증 과정이 부실해서 아쉽다"면서 "그렇다고 그냥 무시하고 넘어가거나 그걸 옹호하고 그냥 넘어가면 검증 자체가 무력화돼 버린다"며 명예훼손을 언급하며 넘어가려는 여당의 태도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