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 눈의 시민군 '데이비드 돌린저' 영암군서 5·18 증언한다

    작성 : 2025-05-14 14:04:33
    ▲ 하버드대 광주항쟁 10주년 행사에서 연설하는 데이비드 돌린저 씨 [전남 영암군] 

    '푸른 눈의 시민군' 데이비드 돌린저 씨가 전남 영암군에서 5·18 당시를 증언합니다.

    영암군은 16일 영암군청 앞 광장에서 열리는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돌린저씨를 초청했다고 밝혔습니다

    미국인 돌린저 씨는, 1978년 평화봉사단원으로 한국에 와 영암보건소에서 결핵환자를 돌보는 일을 2년간 하며 '임대운'이라는 이름도 얻었습니다.

    돌린저 씨는 책 <나의 이름은 임대운>에서 "나는 내 아들이 내 유골의 일부를 월출산에도 묻어 주기를 바라고 있다. 월출산은 내가 자신을 돌아보고 미래를 설계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낸 소중한 장소였다. 월출산은 나에게 정말로 특별한 의미가 있는 영적인 장소이자 내 삶 궤적의 소중한 일부가 되었다"고 적고 있습니다.

    1980년 5·18 당시 푸른 눈의 시민군이었던 그는 임대운으로 불리며 전남도청에서 계엄군의 무전기를 감청하고, 시민군 대변인 윤상원 열사의 외신 기자회견을 통역하고, 시민군의 시신을 수습하는 등 임무를 수행했습니다.

    아울러 미국으로 돌아간 뒤에는 5·18의 진실을 알리고, 한국 인권의 실상을 폭로하는 일을 하며 광주 정신의 국제화에 공헌했습니다.

    같은 책 '광주항쟁에 대한 내 결론' 장에서 돌린저 씨는 "광주항쟁 때 나는 이전의 나를 묻었다. 그리고 1980년 5월에 내가 목격한 사건 때문에 또 다른 나의 일부가 태어났다. 항쟁 기간 동안 광주 시민들을 더 돕지 못한 후회는 죽는 날까지 남을 것이다. 광주 시민들과 희생자들에게 깊은 사죄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습니다.

    돌린저 씨는 영암 5·18 기념식에서 '푸른 눈의 증언자 데이비드 돌린저 특별 증언'에 나와 영암군민들에게 자신의 영암 생활과 5·18 체험을 들려줄 예정입니다.

    이달 2일부터 광주 전일빌딩 245 5·18기념 공간 9층에서는 외국인의 시선으로 5·18의 진실을 조명하는 '증인 : 국경을 넘어' 특별전이 열리고 있습니다.

    특별전에서는 돌린저 씨를 포함해 고 아놀드 피터슨, 제니퍼 헌틀리 3명의 회고록을 바탕으로 광주의 아픔과 민주화의 여정을 재조명하고 있습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