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모란 시인 영랑 생가 원형 복원

    작성 : 2013-10-21 07:30:50
    일제에 항거했던 대표적 저항 시인
    영랑 김윤식 선생의 생가가 원래 모습을
    되찾게 됐습니다.

    복원되는 생가는 문학사적 가치와 함께
    전통 한옥과 근대 건조물의 변화기를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동근 기자의 보돕니다.



    단아한 한옥을 둘러싼 담,
    안채와 사랑채를 오가는 좁은 문으로
    불리는 협문.

    일제에 항거했던 대표적 저항 시인
    영랑 김윤식 선생의 생가 복원 현장입니다.

    80년대 강진군이 방치된 생가를 매입하고
    92년 안채와 사랑채를 복원한데 이어
    20년만에 추가 복원에 나선 겁니다.

    사랑채 앞에 문간채가 있었고 그 사이에
    길이 40여미터의 담과 1.5미터의
    좁은 문이 있었다는 가족들의 증언을
    토대로 예전 모습을 되찾게 됐습니다.

    인터뷰-김동남/강진군 문화예술팀장
    "

    국가지정문화재인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된 영랑 생가는 시문학파 기념관과
    함께 현대문학사의 산교육장이 될 전망입니다.

    서울 휘문고보 재학시절 고향 강진에서
    만세운동을 주도하고 순수시 최초의
    전문지인 시문학지를 발간해 일제에
    항거했던 선생의 발자취를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생가 옆에 조성된 시문학파기념관은
    일제강점기와 6.25 전쟁이 남긴 시련과
    상처를 엿볼 수 있는 작품과 자료들이
    다양하게 전시돼 문학체험의 공간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인터뷰-김선기/강진 시문학파기념관 관장
    "
    이달말 완공을 앞둔 영랑 생가 복원은
    문학사적 의미와 함께 20세기 초반
    전통한옥과 근대 건조물 이행기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건축사적 자료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KBC 이동근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