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적자 보다 더 낸 전기요금"...철도공사, 재생에너지 비중 0.6% 불과 [국정감사]

    작성 : 2025-10-21 11:45:02
    ▲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공사가 최근 5년간 기록한 영업적자보다 더 많은 전기요금을 부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재생에너지 자체 생산 비율은 최대치의 0.6%에 불과해 에너지 자립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정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 광주 북구갑)이 한국철도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5년 6월까지 철도공사가 납부한 전기요금은 2조 2,199억 원에 달했습니다.

    이는 같은 기간 총 영업적자 2조 598억 원보다 많은 수준입니다.

    2025년 6월 기준으로 철도공사의 부채 총액은 21조 3,106억 원이며, 올해 7월 기준 전기요금 단가는 1kWh당 221.6원으로 2021년 대비 61.4% 인상됐습니다.

    다른 공기업보다 약 23% 높은 요율을 적용받고 있으며, 이는 산업용 전력 요금 체계 적용과 심야시간 요금 할인 미적용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철도공사의 재생에너지 자체생산 실적은 생산가능 최대치 485GWh 대비 3.1GWh(0.6%)에 불과했습니다.

    ▲ 더불어민주당 정준호 의원(광주 북구갑)

    철도공사 분석에 따르면, 방음벽·차량기지·역사·주차장 등 가용 부지를 모두 활용하면 연간 485GWh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이 경우 생산 단가 209원을 적용하면 연간 1,010억 원 절감 효과가 기대되지만, 현재는 이 잠재력의 극히 일부만 활용되고 있는 셈입니다.

    또 서남권 지역 태양광 발전과 철도 운행을 연계할 경우 연간 12.4GWh 전력을 확보, 약 26억 원의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전망도 제시됐습니다.

    정준호 의원은 "철도공사는 다른 공기업보다 전기요금 부담이 크고, 적자의 상당 부분이 전기료 때문"이라며 "자체 재생에너지 생산 확대가 가장 현실적 절감 방안"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에는 서남권 RE100 산업단지 조성과 재생에너지 확충이 포함돼 있다"며 "철도공사가 태양광 발전과 연계한 에너지 자립체계를 구축한다면, 적자 해소와 탄소 감축을 동시에 달성하는 일석이조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