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욱 전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인사청문회가 끝나 대통령의 결단의 시간이 남았다"며 "여론의 추이를 살피는 등 대통령의 부담이 커지는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김 전 대변인은 이어 "갑질 문제뿐만 아니라 이제 거짓말 의혹에 대한 해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며 자진 사퇴를 시사하기도 했습니다.
이준우 국민의힘 대변인은 "직장에 가면 갑질하는 상사를 만날 수도 있다"며 "갑질은 모두 다 공통으로 느끼는 것"으로 사안이 중대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대변인은 또 "나간 사람인데 다른 의원실에 재취업하는 것조차도 전화를 해가지고 취업을 방해했다는 것"은 "최악의 모든 이제 직장 상사로서의 조건을 다 갖추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강성필 더불어민주당 부대변인은 "쓰레기 문제는 상습 여부를 살펴봐야 한다"면서 "하지만 취업 방해 같은 경우에는 묵과할 수 없다"고 질타했습니다.
강 부대변인은 "왜냐하면 사람의 생계와 달려 있는 문제"라며 "그런데 이것은 아직 제대로 규명된 건 아니라 (지켜봐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어 "본인이 자진 사퇴를 하든지 아니면 대통령실에서 결정을 해야 된다"며 "국무위원 후보자 내정자가 낙마하면 여론도 예전과 다르다"고 지적했습니다.
강 대변인은 "오히려 대통령이 결단을 내리면 '아 역시 대통령께서는 공정하게 가까운 사람도 흠결이 있으면 쳐내시는구나'라고 국민들이 더 지지할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