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휴가철 아동실종 유의, 해마다 늘어

    작성 : 2014-08-08 20:50:50

    요즘같은 휴가철 등에 실종돼 부모 품으로 돌아오지 못하는 아이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사전에 아동의 사진과 지문 등을 등록해 실종을 예방하는 제도가 운영되고 있지만

    등록률은 20%도 안 돼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정의진 기잡니다.



    1991년 3월 24일.



    윤 모 씨는 아직도 그 날을 생생히

    기억합니다.



    집 앞 공원에서 자전거를 타고 놀던

    세 살배기 아들 최민석 군이 잠시 한 눈을 판 사이 감쪽같이 사라졌기 때문입니다.



    그로부터 벌써 23년이 흘렀는데, 아직도 또래 아이들만 보면 눈물부터 납니다.



    싱크-윤 모 씨/실종아동 가족 "저녁이면 잠도 못자고 옷 입은 채로 문 앞에서 민석이가 비 맞고 울고 있을 것 같고 지금도 못 만난다는 마음은 없어요 죽더라도 한 번 얼굴은 보고 죽어야죠"



    스탠드업-정의진

    "이처럼 매년 실종아동으로 경찰청에 접수되는 인원은 2만 명이 넘습니다. 이 중 아직도 부모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한 아동은 최근 3년 동안 무려 9백 명에 달합니다"





    광주*전남 지역만 해도 지난 2011년

    2천 2백15건, 지난해에는 천 7백18건으로 접수건수는 크게 줄어들고 있지만, 지난해 미발견 아동수는 18명으로 2년 새 13명이나 늘었습니다



    아이를 잃어버린 부모나 길 잃은 아이를 발견한 사람, 그리고 이런 아동을 보호하고 있는 시설 등에서 곧바로 신고를 해야하는데,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박정호/광주지방경찰청 여성청소년계장

    "관심과 적극성이 아이들이 빨리 부모에게 돌아올 수 있는 길"



    이처럼 실종 아동수가 꾸준히 늘어나면서 경찰은 지난 2012년부터 사전등록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아동의 지문과 얼굴 사진 등 정보를

    등록해 실종 시 이 자료를 바탕으로 아동을 신속히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돕니다.



    지난 4월에도 광주 풍암동에서

    8살 지적장애 아들을 잃어버린 보호자가

    사전등록제를 활용해 하루도 안 돼 아이를 찾은 사례가 있습니다.



    하지만 등록률은 턱없이 낮습니다.





    지난해 기준 등록된 18세 미만의 아동은 모두 1백75만 명으로 전체의 18% 수준에 불과합니다. 이 중 실종률이 가장 높은 7세 미만 아동의 등록률도 50%가 안됩니다//



    실종 후 신속한 조치를 취함과 동시에

    사전등록제에 대한 홍보를 강화해 아이가 빠른 시일 내에 부모의 품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해 보입니다.



    kbc 정의진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