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6기 광주와 전남의 주요 의제를 알아보는 순서로 오늘은 민선6기 광주시의 복지에 대해 살펴봅니다.
광주시 복지 예산의 대부분은 정부의 정책을 따라 가기도 바쁠 정도로 빠듯하지만 자체 모델 발굴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이형길 기자의 보돕니다.
광주 시내 고물상마다 폐지들이 수북히 쌓여있습니다.
일자리를 찾지 못한 노인들이 폐지를 주워
팔고 있는 겁니다.
폐지 가격은 kg당 60원 정도. 하루 30kg을 팔아야 1,800원 정도 손에 쥘 수 있습니다.
싱크-최 모 씨(72)/폐지 수집
"못 벌어. (한 달)십만 원을 어떻게 벌어요. 폐지 60원에 팔아가지고, (그래서) 다 나이드신 분이지 젊은 사람들은 안 해요"
이렇게 폐지를 주어 생계비를 마련하는 노인은 광주시에만 840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됩니다.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 등에 대한 지원책이 있고 광주시가 노인 일자리 사업도 추진하고 있지만 사각지대는 여전히 존재합니다
윤장현 당선자도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노인 일자리 만 개를 만들겠다고 공약했지만 광주시 전체 예산에서 복지 예산이 34%에 달하는 상황에서 쉽지만은 않습니다.
인터뷰-김선호/광주시 인수위 분과위원장
"실제 일자리를 구하는 노인이 만2~3천명 정도로 파악되는데, 지금 9천개 정도 제공하니까"
새로운 일자리를 만든다고 해도 지금처럼 신청하는 사람에게만 혜택이 주어진다면 사각지대가 생길 수 밖에 없습니다.
스탠드업-이형길
따라서 이제는 지방정부가 눈에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를 찾아나서는 복지 행정을 펼쳐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특히 인구가 밀집해있는 광주는 찾아가는 복지를 시행하기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보편적 복지를 넘어서 도움이 필요한 곳을 찾아 손을 내미는 광주만의 복지 모델 구축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kbc 이형길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