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이 러시아군에 파병한 사실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가운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 감사의 뜻을 표했습니다.
크렘린궁은 28일 성명을 통해 북한군이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서 우크라이나군을 몰아내는 데 도움을 준 것과 관련 푸틴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에게 개인적인 감사를 표했다고 밝혔습니다.
푸틴 대통령은 "북한 친구들은 연대감과 정의감, 그리고 진정한 동지애에 따라 행동했다"며 "이를 높이 평가하고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전체 지도부, 그리고 인민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했습니다.
앞서 이날 북한도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러시아 파병에 대한 입장을 밝혔습니다.
우선 "러시아에 대한 우크라이나의 무력 침공을 격퇴하기 위한 쿠르스크 지역 해방작전이 승리적으로 종결됐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국가수반의 명령에 따라 쿠르스크 지역 해방작전에 참전했다"면서 "(북한군이) 높은 전투정신과 군사적 기질을 남김없이 과시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간 러시아 파병을 인정하지 않았던 북한이 처음으로 파병 사실을 공식 확인한 겁니다.
그러면서 이번 파병이 지난해 6월 체결한 북러 간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을 근거로 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북러 조약 제4조에 따르면 쌍방 중 한쪽이 무력 침공을 받아 전쟁 상태에 처하게 될 경우 지체없이 군사 원조 등을 제공한다고 명시돼 있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그러나 러시아의 침공으로 시작됐습니다.
이런 가운데 북한이 북러 조약의 이행 차원임을 강조하는 건 파병의 정당성을 부각하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북한은 또 자국 희생자가 발생한 점도 인정했습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우리 수도에는 곧 전투 위훈비가 건립될 것"이라며 "희생된 군인들의 묘비 앞에는 조국과 인민이 안겨주는 영생 기원의 꽃송이들이 놓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북한은 "앞으로도 변함없이 러시아 군대를 전폭적으로 지지하고, 북러 간 조약에도 충실할 것"이라고도 했습니다.
북한의 이같은 입장문은 앞서 발레리 게라시모프 러시아군 총참모장이 이틀 전 푸틴 대통령과의 화상회의에서 북한군 참전을 언급하면서 그 공로를 평가한 이후 나왔습니다.
북러 동맹의 강화가 예상되면서 다음 달 러시아 전승절 행사에 김정은 위원장이 참석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