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악화로 서민들의 자금 사정이 취약해지면서 올해 1분기 카드사 연체율이 약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금융권에 따르면 각 카드사의 3월 말 기준 연체율(카드 대금, 할부금, 리볼빙, 카드론, 신용대출 등의 1개월 이상 연체율)이 모두 상승했습니다.
하나카드는 1분기 말 연체율이 2.15%로, 작년 동기(1.94%), 전 분기(1.87%)보다 각각 0.21%p, 0.28%p 올랐습니다.
하나카드가 출범한 2014년 12월 이후 최고치입니다.
KB국민카드의 연체율은 1.61%로 작년 동기·전분기(각각 1.31%)보다 0.31%p 올라 2014년 말(1.62%)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신한카드 역시 1분기 말 연체율이 1.61%로 작년 동기(1.56%), 전 분기(1.51%) 대비 각각 0.05%p, 0.10%p 올라 2015년 3분기 말(1.68%) 이후 최고치였습니다.
우리카드는 1.87%로 작년 1분기(1.47%), 작년 말(1.44%)보다 각각 0.40%p, 0.43%p 올랐습니다.
9개 카드사의 지난달 카드론 평균 금리는 연 14.83%로 2022년 12월 이후 2년 3개월 만에 최고 수준으로 집계됐습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경기가 좋지 않아 소상공인·자영업자 등 취약 차주를 중심으로 특히 연체율이 오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다른 관계자도 "내수 경기 부진, 경제 성장률 둔화 등 여러 경제 지표 여파로 연체율이 상승했다"며 "2분기에도 시장 불안감 고조와 불확실성 증가로 건전성이 악화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습니다.
은행권 대출 문턱이 높아지면서 서민들의 급전 창구인 카드론 잔액과 보험계약대출 등은 연일 잔액이 늘고 있습니다.
카드론 잔액은 작년 이후 계속 증가해서 올해 2월 42조 9,888억 원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가 지난달 분기 말 부실채권 상각 등 영향으로 42조 3,720억 원으로 다소 감소했습니다.
금감원에 따르면 보험계약대출 잔액은 작년 말 71조 6천억 원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습니다.
보험계약대출 잔액은 2022년 말 68조 1천억 원, 2023년 말 71조 원에서 지속해서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연체율이 높아지자 카드사들은 건전성 관리를 더욱 강화한다는 계획입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경기회복이 돼야 연체율이 안정화할 수 있을 것"이라며 "부실화된 자산의 상·매각, 다중채무 양산 방지, 심사요건 정교화 등을 통해 리스크를 관리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다른 카드사 관계자도 "고객등급 및 고객군별 모니터링 관리, 자산별 건전성 관리 강화 등을 통해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에 따른 부정적 영향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