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방준비제도의 제롬 파월 의장을 흔들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실제로는 자신의 행동이 금융시장의 대혼란 사태를 야기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뉴욕타임스(NYT)는 18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들을 인용해 그가 파월 의장을 해임할 경우 이미 불안정한 금융시장에 더 큰 변동성을 불러올 수 있다는 점을 알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파월 의장에게 기준금리 인하를 촉구하면서 임기 중 교체 가능성까지 언급했습니다.

대통령이 정책상의 이견을 이유로 연준 의장을 해임할 법적 권한은 없지만, 연방 대법원의 명확한 판례가 있는 것도 아니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전 파월 의장을 임기 전에 내보내고, 연준 이사 출신인 케빈 워시를 임명하는 방안을 검토했다고 전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파월을 해임할 법적인 근거와 파급 효과 등을 검토했다는 설명입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참모들은 파월 의장의 해임이 법적으로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고, 이 같은 불확실성은 금융시장에 심각한 충격을 줄 수 있다고 보고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트럼프 대통령도 이 같은 조언에 어느 정도 납득한 상태라는 것이 참모들의 설명입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재임 기간 1929년 대공황 같은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두려워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 2일 상호관세 발표 이후 주가가 폭락하는 등 금융시장이 요동친 것도 트럼프 대통령의 불안감을 자극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결국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인사를 요청한 국가들과 협상할 시간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90일간 상호관세를 유예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