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네 의원부터 대학병원들까지 집단 휴진이 코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정부와 국회가 진화에 나섭니다.
정부는 개원의들에게 진료 명령을 내리고, 환자 피해가 발생할 경우 엄정히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면서도 사직한 전공의들의 1년 내 재수련을 제한하는 지침을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의원들은 서울대 의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가 무기한 휴진을 시작하기 하루 전인 16일 이 병원 교수들과 만납니다.
이 자리에서 교수들은 의료 공백 사태 해결을 위한 요구사항을 제시하고, 국회 차원의 도움을 요청할 계획입니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오는 17일부터 응급환자, 중환자 등 필수 진료 분야를 제외한 전 과목 무기한 휴진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의협은 전 회원 투표를 통해 오는 18일 전면 휴진하고 총궐기대회를 열기로 했고, '빅5' 병원 등 전국 의대 교수들도 합류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정부는 의사단체의 휴진 움직임에 엄정히 대응한다는 방침이면서도 전공의 구제 방안 등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18일 의협의 집단 휴진 예고에 따라 13일까지 휴진 신고를 받은 결과, 총 3만6천371개 의료기관 중 4.02%인 1천463곳이 휴진을 신고했다고 밝혔습니다.
복지부는 3만 6천여개 의료기관에 업무개시명령을 발령할 예정이며, 휴진 신고를 했더라도 정당한 사유가 없다면 진료를 쉴 수 없습니다.
정부는 의대 교수들에 대해서는 중환자실이나 응급실을 지키기로 했으므로 당장 행정명령을 내릴 계획은 없지만, 환자들이 제때 수술을 받지 못해 병이 더 위중해지는 등 피해가 발생하면 필요한 조치를 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정부는 의료 공백 사태의 핵심인 전공의들에 대해서는 유화책을 검토 중입니다.
복지부는 현행 '전공의 임용시험 지침' 상 수련 기간 도중 사직한 전공의는 1년 이내에 같은 과목, 같은 연차로 복귀할 수 없지만, 이 지침을 완화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규정에 따라 사직 처리된 전공의들은 다시 수련하려 해도 올해 9월이나 내년 3월에는 지원할 수 없는데, 전공의들의 신속한 복귀를 위해 지침을 수정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의사단체의 휴진 움직임이 멈출지는 의문입니다.
더욱이 의사단체들이 의협을 중심으로 대정부 단일 창구를 만들겠다고 했지만, 내부에서 다시 '잡음'도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제보
제보
 로그인
로그인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