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지방선거가 7개월 여 앞으로
다가왔지만,기초선거 정당공천제 폐지
여부는 여전히 안갯속입니다.
민주당과 안철수 신당을 놓고 저울질 하고 있는 광주*전남지역 입지자들 뿐만 아니라
무언가 변화를 바라는 정치 세력들도
혼란스러워 하고 있습니다. 정재영 기잡니다.
지난해 말 대선 당시 새누리당 박근혜, 민주당 문재인 후보, 그리고 안철수 의원까지 모두 기초선거 정당공천제 폐지를 공약으로 내걸었습니다.
새누리당이 지난 4월 재보선에서 실험적 무공천을, 그리고 7월 민주당이 당론으로 폐지를 결정할 때까지만 해도 급물살을 타는 듯했습니다.
하지만 국정원 댓글 등 정쟁이 심해지고 9월말 정치쇄신 특위가 종료된 뒤에는 아예 논의 자체가 중단됐습니다.
새누리당은 당내 반발 기류로 아직
당론조차 정하지 못했습니다.
c/g> 안철수 의원도 대선 때의 입장을 바꿔 기초의원과 기초단체장의 공천을 단계적 폐지 쪽으로 입장을 바꿨습니다.
( 신정훈 / 기초지방선거 정당공천폐지 국민행동 공동대표 )
" 지역주의 정치 청산 위해 반드시.."
민주당과 안철수 의원 세력 간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는 광주 전남지역의 내년 지방선거 입지자들의 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 씽크-내년 지방선거 기초단체장 입지자 )
"결정 요인이다. 현직단체장은 폐지를. 안풍 기대하는 사람들은 유지.."
공천제 폐지 여부에 따라 민주당과 안철수 신당 사이에서 갈등하고 있는 광주전남 입지자들의 한 쪽 쏠림현상 가능성도 큽니다.
폐지될 경우 안정적인 민주당으로, 유지될 경우 안풍이 더욱 힘을 얻을 전망입니다.
광주전남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새누리당시도당도 인물과 정책으로 승부해야 한다며 폐지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정당공천제 폐지의 법적 마지노선은 지방선거 기초선거 예비후보 등록일인 내년 2월21일.
하지만 올해를 넘길 경우 현실적으로 폐지가 어려울 것이라는 게 일반적 분석입니다.
복지공약 수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박근혜 대통령이 공약을 지킬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안철수 바람을 차단하기 위해 새누리당과 민주당 모두 최대한 시간 끌기에 나설 것이란 분석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kbc 정재영 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