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식품부는 이들 품목에 대한 가격을 매일 점검하고 관련 품목 생산 업체와 소비자 단체와 소통하며, 물가 안정 정책에 대한 협조를 요청할 계획이라고 12일 밝혔습니다.
밀착 관리 대상은 빵과 우유, 라면 등 가공식품 9개와 햄버거 피자 등 외식 5개 품목, 쌀과 사과 등 농축산물 14개 품목 등입니다.
이들 품목에 대한 물가 상승률이 최근 둔화세를 보이고 있긴 하지만, 물가 부담 자체가 줄어든 건 아니라는 게 정부의 판단입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우유 소비자물가지수는 122.03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14.3% 올랐습니다.
글로벌 금융 위기 여파가 있던 지난 2009년 8월 20.8% 이후 14년 2개월 만의 최고치입니다.
같은 기간 설탕은 17.4%, 아이스크림은 15.2%, 커피는 11.3% 각각 올랐습니다.
빵 물가도 같은 기간 5.5% 오르긴 했지만, 2년 전보다는 무려 21.6% 상승했습니다.
식용유 또한 1년 전보다는 3.6%, 2년 전보다는 47.9%나 높습니다.
가공식품의 사정도 다르지 않습니다.
밀가루의 경우 2년 전보다 36.5%, 라면은 같은 기간 10.0%, 스낵 과자는 12.7%나 높습니다.

지난달 사과 값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무려 72.4% 올랐고, 생간은 65.4%, 파 24.6%, 토마토는 22.8% 각각 올랐습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각 품목의 전담자를 지정해 업계와 가격 동향 등을 모니터링 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농식품부 #물가 #전담 #동향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