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열한 입시 경쟁 예고...'사탐런' 최대 변수

    작성 : 2025-11-13 21:20:03 수정 : 2025-11-13 21:54:14
    【 앵커멘트 】
    올해 수능은 2019년 이후 가장 많은 수험생이 몰리며 치열한 입시 경쟁이 예견됐습니다.

    자연계열 학생들이 과학탐구 대신 사회탐구를 선택하는 이른바 '사탐런'도 사상 최대를 기록하면서, 선택과목에 따른 유불리도 입시에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정경원 기잡니다.

    【 기자 】
    올해 수능은 대체로 지난해 수능과 비슷한 난이도를 유지했다는 평가입니다.

    EBS 연계율 50% 수준을 유지했고, 변별력을 확보하면서도 이른바 킬러 문항은 배제됐다는 분석입니다.

    ▶ 싱크 : 한병훈 / EBS 대표강사(국어)
    - "학교 교육에서 학습한 독해 능력만으로도 충분히 대비할 수 있는 수준의 문항이 출제되었으며, 소위 킬러 문항은 배제되었습니다."

    수험생들도 일부 까다로운 문제가 있었다면서도 비슷한 평가를 내놨습니다.

    ▶ 인터뷰 : 이푸른 / 수험생
    - "6월, 9월 모의고사보다는 조금 어려웠고, 근데 엄청 어려운 것보다는 약간 헷갈리는 부분이 좀 있었어요."

    결국 올해 입시 경쟁의 최대 변수는 탐구과목의 선택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사탐런'이 가속화 하면서 사회탐구 응시 인원이 사상 최대를 기록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전국 수능 응시자 중 사탐을 한 과목 이상 선택한 비율이 77%를 넘었습니다.

    이는 표준점수 확보에 유리한 사탐을 선택한 자연계 학생이 늘어난 결과로 풀이됩니다.

    문제는 과목별 난이도에 따라 표준점수 차이가 크게 벌어질 수 있어, 선택과목에 따른 유불리가 입시에 결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입니다.

    또 자연계 중하위권 수험생들이 사탐으로 이동하면서, 남은 과탐 응시자들은 상위 등급을 확보하는 데 오히려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 인터뷰 : 임지승 / 수험생
    - "생활과윤리는 엄청 어려울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안 어려웠고, 사회문화가 엄청 어려웠어요."

    ▶ 인터뷰 : 송민주 / 수험생
    - "너무 생명(과학)이랑 지구(과학)도 많이 쏠리다 보니까 물리랑 화학은 등급 따기가 너무 어렵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2019년 이후 최대인 수험생 수, 의대 정원 원상복귀도 입시 경쟁을 치열하게 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올해 수능 성적은 다음 달 5일 발표됩니다.

    KBC 정경원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