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정감사가 마무리되면서 국회에서는 내년도 예산 정국이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
728조 원 규모의 내년도 정부 예산안 심사가 진행되는 가운데, 광주광역시와 전남도는 물론 각 시·군·구도 지역 현안사업을 위한 국비 확보전에 뛰어들었습니다.
정지용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광주시는 AI혁신연구소 설치와 미래차 부품인증센터 유치를 위해 내년도 예산 확보에 나서고 있습니다.
또 AI영재고 설립과 5·18 구묘지 민주공원 조성 등, 예산에서 누락된 사업비를 되살리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특히 재정난이 심화되고 국가AI컴퓨팅센터 유치에도 실패하는 등 비상한 상황을 맞으면서 위기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광주시는 국회 상황실을 마련하고, 국고팀장과 직원을 서울에 파견하는 등 전방위 대응에 나서고 있습니다.
▶ 인터뷰(☎) : 김양수 / 광주시청 국고팀장
- "미래 먹거리나 아니면 우리가 민주인권도시로 갈 수 있는 꼭 필요한 사업들 위주로 저희들이 이렇게 국비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전남도도 내년에 호남고속철도 2단계 사업 조기 완공을 위해 499억 원을 추가로 요청했습니다.
이와 함께 김산업진흥원 용역비 10억 원과 석유화학단지 자원순환사업 등 주요 현안 예산 확보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AI데이터센터와 국가AI컴퓨팅센터가 들어설 예정인 해남 솔라시도 부지에는 상하수도 등 기반시설 조성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 인터뷰(☎) : 박주선 / 전남도 국고팀장
- "기본적으로 돼야 할 것 있잖아요. 하수관로하고 용수공급 이 2개는 이번 국회 때 (기반시설) 설계비라도 넣어달라고 지금 건의하고 있습니다."
일부 단체장은 서울에 상주하며 예산 확보전에 직접 나서는 등, 내년도 지방선거를 앞두고 각 지방자치단체 간 치열한 국비 경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국회는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대한 공청회와 상임위와 예결위 심의 등을 거쳐 다음 달 2일 본회의에서 최종 의결할 예정입니다.
KBC 정지용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