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시민사회가 전남대학교 교수들의 갑질과 괴롭힘에 시달리다가 숨진 대학원생 이대원씨 사건에 대한 진상 조사 결과 공개와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광주전남지부, 전국 대학원생 노동조합 등 12개 단체는 6일 광주 북구 용봉동 전남대 후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남대는 대학원 교수 갑질 사건과 관련한 자체 진상 조사 보고서와 함께 인권실태 조사 결과를 공개하고 가해 교수들을 징계하라"고 요구했습니다.
단체들은 "(갑질 의혹을 사고있는) 지도 교수는 자신이 교육해야 할 제자에게 논문에 기여하지 않은 사람의 이르을 논문 저자로 등재하게 하고, 학생 연구자들이 자유롭게 써야 할 학생 인건비를 회수해 관리하도록 지시했다"며 "연구교수는 아무 관련 없는 지극히 개인적인 업무를 시켰고 제때 마무리 못하면 가만두지 않겠다고 협박했다고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학교는 학생들의 인권을 보호하지 못하고 교수들의 갑질을 막지 못했다. 오히려 전국 대학원생들이 겪는 고질적인 문제라는 절망적인 반응을 보였다"며 "뒤늦게 진상조사위원회를 꾸리고 인권 실태조사에 나섰으나 결과를 밝히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대학원생들은 부당한 갑질을 당해도 이미 학비 등으로 들인 돈과 시간, 지도교수의 영향력으로 불이익이 우려돼도 그만둘 수 없는 상황"이라며 "더이상 젊은 대학원생들이 교수의 갑질과 학교의 무관심으로 고통받아서는 안된다"고 호소했습니다.
아울러 "전남대는 조속히 진상 조사 결과 보고서와 인권실태 조사 결과를 공개하고 가해 교수들을 징계, 경찰 수사에 적극 협조하라. 더이상 희생자가 나오지 않도록 재발방지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회견에는 이씨의 유족들도 참석해 가해 교수들을 비판하며 책임을 촉구했습니다.
이씨의 동생 승환씨는 "가해 교수들은 숨진 형을 학생으로도, 사람으로도 보지 않았다. 자신들도 똑같은 길을 걸어왔다던 그들이 잘못된 것을 모를 리 없으면서도 아무렇지 않게 살고 있다"고 토로했습니다.
또 "가해 교수들은 형에게 중고 거래, 현금 인출, 커피 심부름 등을 시켰고, 형은 숨진 그날까지 연구실 회식비 영수증을 고치러 식당을 찾아가서 다시 결제했다. 형은 연구실의 모든 일이 내 일인가보다 하며 세뇌당해야만 했다"고 호소했습니다.
승환씨는 "산재 신청을 통해 대학원 교수들이 학생들을 종놈 부리듯이 지배하는 구조 관행을 없애고자 한다. 가해 교수들이 법의 심판을 받고 학교가 책임을 인정해야 한다"며 "민사, 형사, 학교의 징계 등 모든 절차로 이 잘못을 세상에 새길 것"이라고 다짐했습니다.
그러면서 "제발 어른이 되십시오. 사람이 이렇게 다뤄져선 안됩니다"라며 숨진 이씨가 교수들에게 전하고 싶었던 말을 밝히며 회견을 마쳤습니다.
전남대에서는 지난 7월 13일 광주생활관(기숙사) 9동 앞에서 이씨가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이후 교수진의 사적 심부름 등 갑질 의혹이 담긴 유서가 발견됐고, 경찰은 연구교수와 지도교수를 각각 강요 등 혐의로 입건해 수사하고 있습니다.
전남대 측은 "수사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진상 조사 보고서를 곧바로 공개하지 못했다"며 "산업재해 신청을 적극적으로 돕고 재발 방지 대책 마련에도 힘쓰겠다"고 해명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