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올 여름 기록적인 폭우와 폭염이 반복되면서 농산물 수확량이 뚝 떨어졌습니다.
금값이 된 채소에 과일값 상승도 커 식탁물가가 소비자 지갑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임경섭 기자입니다.
【 기자 】
장날을 맞은 전통시장이지만 여느때와 달리 한산합니다.
무더위와 높은 물가에 시장을 찾는 소비자 발길이 줄었기 때문입니다.
▶ 인터뷰 : 윤동기 / 송정5일시장 상인
- "안 사가 잘 안 사. 비싸다고...(채소가) 녹아버리는데 그냥 줘야지, 사람들이 안 가져가는데. 누가 가져가겠어요?"
광주 전통시장 기준 배추 한 포기 가격이 6,500원을 넘어서며 한달 새 90% 이상 올랐습니다.
상추는 100g에 900원으로 2배 가까이 올랐고, 열무도 50% 넘게 올라 1kg당 3,200원을 넘겼습니다.
소비자들은 올라도 너무 오른 채솟값에 선뜻 집어들기를 주저합니다.
▶ 인터뷰 : 김정순 / 광주 소촌동
- "깻잎도 하나 1,000원이래요. 쌀 때는 3개나 4개, 2개 1,000원하거든. 그런데 몇 배가 비싼 거야 지금"
과일도 상황은 마찬가지.
한 통에 3만 원이 넘는 여름 대표 과일 수박은 살 엄두를 내기 어려울 정도입니다.
▶ 인터뷰 : 이옥수 / 광주 월산동
- "수박은 한 2만 7,000원 해요. 안 먹고 말지 비싸서...참외 비싸고 그런 거 다 비싸. 참외, 토마토"
올 여름 기록적인 폭우로 침수 피해가 잇따른데다 곧바로 폭염까지 이어지면서 농산물 수확량급감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전국적으로 180만 마리가 넘는 가축이 폐사하면서 축산물 가격도 오름세로 돌아섰습니다.
정부는 배추와 사과 등 사전 비축물량을 조기 공급하고, 주요 농축산물 할인을 지원하는 등 가격 안정에 총력을 다한다는 방침입니다.
KBC 임경섭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