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남도가 국토교통부의 '항공안전 혁신 방안'에 따라 무안국제공항의 안전 수준을 대폭 강화하겠다고 7일 밝혔습니다.
우선 올해 8월까지 기존 콘크리트 둔덕형 방위각 시설은 경량 철골 구조로 전면 교체하고, 현재 199m인 종단안전구역을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권고 기준에 맞춰 활주로 양 끝 240m 이상을 확보해 비상 상황에 대비한 안전 방어선을 갖출 예정입니다.
2,800m인 활주로도 오는 8월까지 3,160m로 연장합니다.
특히 조류 충돌을 예방하기 위해 전국 공항 중 최초로 무안공항에 조류탐지 레이더가 설치됩니다.
이와 함께 열화상카메라, 음파 발생기 등 추가 장비를 도입하고 조류 대응 전담 인력도 현재 4명에서 12명으로 증원할 예정입니다.
국토부는 조류 퇴치용 드론을 개발해 무안공항에서 실증사업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공항 주변 환경 관리도 기존에는 공항 반경 3~8㎞ 이내를 조류 유인시설 관리구역으로 운영했으나, 앞으로는 그 범위를 13㎞까지 확대하는 등 보다 강화됩니다.
조류 감시용 CCTV와 데이터 분석 기능을 갖춘 통합감시센터도 내년에 시범 설치합니다.
여수공항의 항행안전시설도 대폭 개선됩니다.
연말까지 방위각 시설이 설치된 높이 4m의 둔덕을 제거하고, 충격 시 파손되는 경량 구조물로 교체됩니다.
조류 탐지 레이더도 2026년 도입을 목표로 설계에 들어갑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