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지역 대학이 벼랑 끝 위기로 내몰리고 있습니다. 신입생 채우기도 버거운 상황인데요.
지방대를 살리기 위해서는 획일화된 대학 평가 기준을 바꾸고 안정적인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서울방송본부 정의진 기자입니다.
【 기자 】
어느 대학에 재정 지원을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교육부의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
재정난에 시달리는 지역 대학은 해마다 좋은 평가를 받기 위해 사활을 걸지만, 평가 기준은 전임교원 확보율, 학생 충원율, 졸업생 취업률 등 정량 평가 중심입니다.
수도권과 똑같은 평가 기준이 적용되면서 지역 대학은 늘 재정 지원에서 소외될 수밖에 없습니다.
▶ 싱크 : 최 일 / 동신대 총장
- "대학마다 역할이 다르고 대학마다 특성이 다른데 어떻게 동일한 평가 기준으로 대학을 평가할 수 있겠습니까"
지역 대학들은 학교 운영 재정의 대부분을 학생 등록금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지역 대학의 위기는 곧 지역 공동체 붕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정부뿐 아니라 지자체의 재정 지원을 의무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옵니다.
▶ 싱크 : 윤영덕 / 국회 교육위원회 위원
- "지방재정특례법 개정을 해서 지방자치단체가 국립대, 사립대에 재정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이런 규정을 두는 것이 필요하지 않느냐"
교육부는 앞으로 지역 대학 생태계의 전반적인 상황을 고려해 정원 감축 여부와 재정 지원 확대 등 대책 마련에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
▶ 싱크 : 유은혜 /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 "5월 말 경에는 늦어도 그 부분은 공식화해야 되지 않을까 그렇게 준비 중입니다. 그리고 더불어서 앞으로 고등교육 개정을 포함한 고등교육 혁신 방안을 어떤 방향으로 가져가겠다고 하는 교육부의 입장은 같이 밝힐 필요가 있겠다"
학령인구가 대학 신입생 정원보다 적은 데드크로스 현상이 본격화되면서, 더 이상 양적 팽창은 해결책이 될 수 없습니다.
안정적인 재정 지원과 함께, 지역 대학 스스로의 체질 개선과 자성이 필요합니다.
kbc 서울방송본부 정의진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