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2002년 노무현·2012년 이재명 만든 국민선거인단 폐지

    작성 : 2025-04-15 21:20:19

    【 앵커멘트 】
    더불어민주당이 당원투표 50%와 여론조사 50%를 반영하는 대선 경선룰 확정에 대해 당내 논란이 잦아들지 않고 있습니다.

    일반 국민도 민주당 대선 후보 결정에 참여하는 국민선거인단이 20여 년 만에 폐지된 것인데, 일부 후보들이 반발했습니다.

    이형길 기자입니다.


    【 기자 】
    더불어민주당 중앙위원회가 조기 대선을 앞두고 후보 경선룰을 확정했습니다.

    당원 투표 50%와 일반여론조사 50%를 합산해 당의 대선 후보를 뽑는 방식입니다.

    역선택을 방지한다는 이유에섭니다.

    ▶ 싱크 : 민홍철 / 더불어민주당 중앙위원회 의장
    - "찬성 96.56% 반대 3.44%로 특별당규 제정의 건이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하지만 지난 2002년부터 국민들에게 후보 선택에 참여권을 준다는 명분으로 운영했던 국민선거인단이 폐지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김두관 전 의원은 김대중·노무현 정신을 저버렸다며 민주당 경선 불참을 선언했습니다.

    김동연 경기지사도 경선룰이 국민들의 기대를 저버렸다며 안타까움을 나타냈습니다.

    ▶ 싱크 : 김동연 / 경기지사
    - "민주당의 원칙인 국민경선제가 무너진 점에 대해서 대단히 안타깝습니다. 무엇보다도 국민 여러분께 실망시켜드린 점이 아주 뼈아픕니다."

    민주당의 국민선거인단은 일반 국민을 대선 후보 경선에 참여하게 해 관심을 높였고, 새로운 후보가 국민의 지지로 파란을 일으키기도 했습니다.

    실제로 2002년 당내 기반이 약했던 노무현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됐고, 2012년 정치 변방에 있던 이재명 성남시장이 유력 대권 주자로 떠오르기도 했습니다.

    이번 경선룰 변경으로 사실상 이재명 1강 체제가 더욱 굳어지게 됐다는 평가가 당 안팎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 스탠딩 : 이형길
    민주당은 오는 27일까지 전국을 4개 권역으로 나눠 경선을 진행하는데, 촉박한 시간에 경선룰마저 당원 중심으로 바뀌면서 컨벤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란 지적도 나옵니다.

    KBC 이형길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