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이 국회에서 "1945년 광복을 인정하느냐"는 질문에 답변을 거부했습니다.
김 관장은 26일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1945년 광복이 됐다는 것을 인정하느냐. 관장 자격으로 이야기해달라"는 더불어민주당 유동수 의원 질의에 "관장 자격으로 얘기를 하라면 그 멘트를 하지 않겠다"고 답했습니다.
김 관장은 지난해 12월 한 보수단체 행사에서 자신이 "1945년 8월 15일 광복이 됐다고 얘기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역사를 정확히 모르고 하는 것"이라고 발언했습니다.
김 관장은 기자회견 등을 통해 '대한민국 건국은 1919년 임시정부 수립으로 시작돼 1948년 정부 수립으로 완성됐다'는 견해를 밝혀왔습니다.
광복회 등은 김 관장이 '1948년 건국론'을 주장하는 뉴라이트 인사라며 반발했습니다.
이에 민주당 조승래 의원이 "본인의 소신과 관장으로서 가질 덕목이 괴리가 큰데, 직무를 어떻게 수행하느냐"며 사퇴를 요구하자 김 관장은 "그럴 생각이 없다"며 "국가로부터 받은 임기를 열심히 수행할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또, 독립기념관장에 지원한 이유에 대해서는 "관장 공모 시 '독립정신을 널리 선양해 국민 통합을 이룰 적임자를 찾는다'고 했다"며 자신의 소신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은 일제의 국권 침탈이 원천적 무효라고 보는 정부의 기본 입장과 김 관장의 시각에 배치되는 부분이 있다는 야당 의원들 지적에는 "그런 것이 있다면 감사실 등에서 파악하고 그에 따른 조치"를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김 관장의 해임을 건의할 생각이 있는지에 대해선 "관장 본인이 설명하고 있고, 현재로서는 절차적 정당성에 문제가 없다고 보고받았기 때문에 제가 말씀드릴 사항은 여기까지"라고 말했습니다.
 
                

 제보
제보
 로그인
로그인






















































댓글
(2)독립기념관 자체가 필요없는것같은데.
관장과 예하직원들은 집에가는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