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수도권 집중정책, 광주*전남 경제 피해

    작성 : 2014-09-27 20:50:50

    수도권 규제완화 정책 기조가 유지되면서



    광주*전남 경제에도 적지않은 피해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지역 취업자 수의 감소세가 이어지거나



    소폭 증가에 그치고 있고, 수출 기업 수는 전국에서 두 번째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방송본부 신익환 기잡니다.







    지난해 말 기준 전국 수출기업 8만 6천 6백여 개 중 72%인 6만 2천 2백여 개가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 집중 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광주와 전남은 2천 2백여 개로



    3%에 불과해 제주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 적었습니다.







    코트라의 수출지원 서비스 이용률도



    수도권은 70%인 반면, 광주*전남은 2%에



    불과했습니다.







    인터뷰-신환섭 코트라 중소기업본부장







    취업자 수에 있어서도 수도권 쏠림 현상은 뚜렸하게 나타났습니다.







    (CG1)



    광주시의 지난 2004~2008년 사이



    취업자 수는 324만 6천 명을 기록했고,



    2009~2013년 사이에는 348만 6천 명이



    취업해 24만 명 증가에 그쳤습니다.







    (CG2)



    전남은 2004~2008년 사이 468만 5천 명이 취업한 반면, 2009~2013년 사이 459만 2천 명이 취업해 9만 3천 명이 줄었습니다.







    같은 기간 인천은 74만 명이 늘었고,



    수도권 인접지역인 충청도 역시 64만 6천 명이 늘었습니다.







    스탠드업-신익환



    하지만 정부의 수도권 규제완화 정책이



    계속되면서 지방 경제는 더욱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실제 지방 이전 기업에게 지원했던 입지보조금은 대폭 삭감된 반면, 수도권 공장총량제 폐지, 수도권 내 산업단지에 대한 국고지원 강화 등 수도권 규제의 고삐는 풀리고 있습니다.







    인터뷰-최윤기 산업연구원 지역발전연구센터 소장







    정부의 수도권 규제완화 정책은 수도권



    집중을 가중시키는 한편, 지방 경제를 사실상 포기하는 정책으로 간주되면서 지방의 반발이 커지고 있습니다.







    kbc 서울방송본부 신익환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