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봄 세월호 사고 이후 선박 안전운항에 대한 수많은 개선 방안이 쏟아졌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바다에서는 안전 수칙을
무시한 운항으로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백지훈 기자의 보돕니다.
지난 18일 완도읍 화흥포 선착장.
완도 한 농협 소속 화물선에서 선착장으로 내리던 트레일러와 크레인이 바다로 추락하는 사고가 있었습니다.
바다에 빠졌던 트레일러 운전기사는
창문으로 빠져나와 다행이 목숨을 건졌지만, 8억 원 가량의 중장비들은 고철덩어리가
됐습니다.
인터뷰-이남균/사고 트레일러 운전기사
이번 추락사고는 단순한 안전사고가
아니였습니다.
트레일러와 크레인을 문제의 화물선에 싣는 것은 위법행윕니다.
싱크-선사 관계자/화물선에 트레일러를 실을 수있는 허가가 나온 배들이 있고, 안 나온 배들이 있는데 (사고선박은)트레일러 허가가 없는 걸로 알고 있어요
95톤에 달하는 중장비를 내리려고
화물선 끝으로 다가가자 무게를 견디지
못한 화물선이 바다쪽으로 밀려가면서
선착장과 화물선 사이 바다로 중장비가
추락한 것이였습니다.
규정을 어겨가며 중장비를 싣다보니
세월호처럼 무게중심을 못잡고 사고가 난 것입니다.
여기에다 밧줄도 제대로 묶여있지 않았고, 바다로 밀려나는 화물선을 다시 선착장으로 접안하려고 뒤늦게 시동을 걸었지만,
수포로 돌아갔습니다.
기본적인 안전수칙이 하나도 안 지켜졌고, 이를 제대로 감시감독 해야할 해경도 사고당시 현장에는 없었습니다.
스탠드업-백지훈 기자
"세월호 참사 이후 선박 운항의 안전수칙 준수가 수없이 강조됐지만, 현장에서의 안전불감증은 여전합니다. kbc 백지훈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