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에 3.3㎡ 당 분양가가 천만 원이 넘는 아파트가 공급된다는 소식에 여론이 들끓고 있습니다.
시민단체도 광주 남구청의 분양가심사위원회가 서민 주거안정이라는 본래의 목적을 상실한 것 아니냐며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정의진 기잡니다.
전용면적 84㎡ 국민주택 아파트의 3.3㎡ 당 분양가가 천 만원이 넘게 산정되자
비판 여론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분양가 고공행진이 이어질 경우 서민에게 내 집 마련의 기회는 더 멀어질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인터뷰-윤종한/광주 운암동
"터무니 없는 가격, 서민은 꿈도 못꿔"
인터뷰-김유자/광주 운암동
"너무 벅차. 아무리 발버둥쳐도 어렵다"
시민단체도 성명을 내고
광주 남구청 분양가심사위원회의 사회적 책임을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심사위원회가 서민 주거 안정이라는
본래의 목적을 상실한 채 고분양가를
승인했다는 주장입니다.
인터뷰-김기홍/광주 경실련 사무처장
광주시 봉선동 옛 남구청사 부지에
제일건설이 짓고 있는 84㎡ 아파트의
건축비는 2억 2천 750만 원.
최근 첨단에 분양한 중흥건설의 기준층
건축비는 2억 2백만 원, 현대산업개발이
학동에 재건축하고 있는 아파트가
2억 천 백만 원인 것과 비교하면
천 650만 원 가량 비쌉니다//
싱크-건설업계 관계자/"(건축비가 84㎡ 당 2억 이상 나온 적이 있어요) 거의 없죠 건축비가 (다른 아파트) 분양가랑 똑같은 실정인데"
화살은 남구청으로 쏟아지고 있습니다
고분양가를 촉발한 땅을 판 곳이 분양가
심사를 맡은 남구청이기 때문입니다.
더욱이 분양가 심사도 서면으로 진행돼
제대로 된 평가가 이뤄졌을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시민단체들은 집 값 안정에 앞장서야 할
남구청이 거품 낀 분양가를 묵인하면서
오히려 집 값 상승을 부추겼다며 분양가를 다시 책정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kbc 정의진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