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집중1] 3.3㎡ 1천만 원, 고분양가 비판

    작성 : 2014-09-15 20:50:50

    광주에 분양가 기준으로 3.3㎡당 천 만원을



    넘는 아파트가 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해당 아파트는 서민들이 가장 선호하고



    많이 사는 전용면적 84㎡여서 특히 고분양가란 비판이 커지고 있는데요.











    건축비도 최근 광주에 분양된 아파트들보다



    휠씬 높게 책정돼 분양가심사가 어떻게



    통과됐는지 의문이 일고 있습니다.







    강동일기자의 보돕니다.







    제일건설이 짓고 있는 광주 봉선동의



    한 아파트 건설현장입니다.







    전용면적 84㎡ 기준층을 기준으로 확장비 천 6백만 원을 포함해 3억 5천 100만 원에 공급할 예정입니다.







    주거공용 면적을 더한 공급면적의 3.3㎡ 당 분양가격이 무려 천 30만 원에 이릅니다.







    <인터뷰> 김연수 / 광주시 진월동



    " 취직도 문제지만, 집값이 이렇게 비싸면 평생 아파트 살수나 있겠습니까?











    제일건설은 84㎡기준층의 가격을 대지비



    1억 750만 원, 건축비 2억 2천750만 원,



    확장비 천 600만 원으로 정했습니다.(out)



    땅값인 대지비는 별개로 하더라도 전용면적 84㎡ 아파트의 건축비 2억 2천 750만 원은 비싸도 너무 비싸다는 지적입니다.











    최근 첨단에 분양한 중흥건설의 경우



    기준층 건축비는 2억 2백만 원이었고,



    대기업인 현대산업개발이 지난 5월 학동에 재건축한 84㎡기준층도 2억 천 백만 원으로 제일건설보다 천 6백만 원 가량 낮았습니다 . (out)







    건축비에는 정부가 정한 기본형 건축비에



    특수자재, 공사기간 이자, 행정부대 비용에



    건설사의 이익분 등이 포함됩니다.







    <인터뷰> 김기홍 / 광주 경실련 사무처장



    " 건축비를 높게 해서 분양가 높이는 것은 문제고 특히 분양가심사위원회를 통과한 것은 큰 문젭니다."











    3.3㎡당 천 만원은 지난해 서울 지역의



    아파트 평균 분양가 1,664만 원, 수도권 1,276만 원과 비교해도 크게 차이가 나지 않고 광주 평균 763만 원보다 30% 이상



    높습니다.







    특히 이번에 3.3㎡ 당 천만 원이 넘는



    아파트는 전용면적 84㎡로 일반 서민들이 가장 선호하는 중형입니다







    지난 2008년 한 건설업체가 서구 치평동에 3.3㎡ 당 천만 원에 육박하는 아파트를



    내놨다가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아 대규모 미분양 사태가 발생한 바 있습니다.







    케이비씨 강동일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