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교육청은 정보활용능력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저소득층 자녀에게 개인용 컴퓨터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지원 대상이 최종적으로 결정된 것도 아닌데 학생 정보를 그대로 컴퓨터 판매 업체에 넘기면서 말썽을 빚고 있습니다.
정경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다섯 자녀를 기르는 김 모 씨는 지난주 컴퓨터 업체로부터 전화 한 통을 받았습니다.
업체 담당자는 초등학교 3학년 막내딸의
인적사항을 일일이 확인하더니 예전에
교육청에서 컴퓨터를 지원받은 적이 있냐고 물었습니다.
김 씨는 컴퓨터 지원 대상자로 확정된 것도 아닌데 교육청도 아닌 컴퓨터 업체에서
딸의 개인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불쾌해
곧바로 교육청에 항의했습니다.
싱크-김 모 씨/ 학부모
"기분이 나쁘죠, 제 입장에서는. 그래서 그걸 왜 물어보냐, 당신이. 무슨 지시가 내려왔냐 (되물었더니) 혹시 몇 년 전에 받은 데가 있으면 해주지 말아라, 명단에 있어도(그랬다는 거예요)"
광주시교육청은 올해 8억 9천만 원의 예산을 편성해 저소득층 가정에 개인용 컴퓨터를 지원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CG
지원 대상자는 학교의 심사를 거친 뒤
교육청이 최종 선정하고, 그 결과 역시
교육청이 학교와 학부모에게 통보하도록 돼 있습니다.//
그런데 교육청은 제외 대상을 가려내지도 않은 상태에서 일단 우선 순위에 있는 저소득층 학생들의 정보를 업체에 넘겼습니다.
싱크-광주시교육청 관계자/
"대상자가 되는 아이만 2천 명이 넘어요. 2천 명이 넘는 아이들을 전부 다 저희가 전화를 할 수는 없는 상황이어가지고 일이 그렇게 된 건데, 저희도 책임이 있고..."
업체 역시 전화 한 통으로 이전에 지원받은 적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면서 중복 지원될 가능성도 있는 상황입니다.
정보 소외계층을 줄이기 위해 수억 원을 들여 추진하는 저소득층 자녀 컴퓨터 지원사업,
하지만 교육청이 담당해야 할 확인 절차를 민간 업체에 떠넘기면서 저소득층 학부모들의 원성을 사고 있습니다.
kbc 정경원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