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공천 기준을 마련하고 최근 지역위원장 워크숍에서 기준의 윤곽이 일부 공개됐습니다.
경선 문턱을 낮춰 당원 참여를 확대하는 대신, 부적격 기준을 명확히 해 경선 불복 등 현장의 혼란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정지용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10일 지역위원장 워크숍을 열고 내년 6월에 치러지는 제9회 지방선거 승리를 목표로 제시했습니다.
민주당은 당원 민주주의 실현과 완전한 민주적 경선, 깨끗하고 유능한 후보 선출, 여성·청년·장애인의 기회 확대 등을 주요 공천 방향으로 설정했습니다.
당원의 참여를 높여 경선 문턱을 낮추고, 다양한 계층의 입후보자들에게 폭넓은 기회를 제공하겠다는 취지입니다.
이와 함께 부적격 심사 항목은 더욱 강화하고 기준을 명확하게 규정했습니다.
주가 조작 등 자본시장법 위반으로 집행유예 이상의 형을 받았거나 교제 폭력으로 형사처벌을 받은 경우, 3회 이상 상습 탈당자는 공천 부적격 심사 대상에 오릅니다.
반면, 촛불 혁명이나 대선 과정의 기여도는 긍정적으로 평가돼 공천 심사에 반영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명확한 기준을 세우고 엄격하게 적용함으로써 경선 불복 등의 논란을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민주당이 이전 선거에 비해 상당 기간 앞서 공천 방향과 기준을 제시한 것은 매우 이례적입니다.
입후보 예정자들의 혼선을 줄이고 경선 현장의 혼란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다른 당보다 정치적 입지를 선점하려는 포석으로 분석됩니다.
▶ 스탠딩 : 정지용
- "더불어민주당의 공천 방향과 심사 기준이 일부 알려진 가운데 다른 당도 체제를 정비하면서 내년도 지방선거 시계는 더욱 빨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KBC 정지용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