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무안반도 통합 논의는 답보 상태지만, 환경 행정에 있어서만큼은 단호한 목포시의 대응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시민의 건강권을 최우선으로 내세워 폐기물 관련 허가에 철저히 대응하고 있는데, 환경 시설 허가 신청이 잇따르는 상황에서 이 같은 행정 기조를 계속 이어갈 수 있을지 관심입니다.
고익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목포 시내의 한 폐기물 재활용 업체 처리장입니다.
처리장 안팎으로 온갖 폐기물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습니다.
업체가 고객들에게 돈을 받고 처리하겠다며 보관한 폐기물이 허가량의 두 배가 넘게 방치돼 있습니다.
지난 5월, 폐기물 반입 정지 명령을 받은 이 업체는 결국 목포시로부터 허가 취소 처분을 받았습니다.
▶ 스탠딩 : 고익수
- "폐기물 재활용업체에대한 면허 취소는 목포에선 처음으로 해당업체는 반입정지 명령 불이행으로 경찰에 고발된 상태입니다 "
▶ 싱크 : 김상문/목포시 자원순환과장
- "시민·환경단체 여러가지 여론을 취합하고, 지역의 특수성, 과중해서 과밀이 되면 안되쟎습니까? 이런 부분을 감안해서 저희들이 권장이라든지 이런걸 통해 최대한 사업에 보완사항을 채택해서 (추진하려고 합니다) "
목포 동물화장장 부지에 들어서려던 의료폐기물 소각시설 계획도 무산됐습니다.
사업자의 미비점을 집요하게 파고든 목포시의 치밀한 대응과 더불어 시민 건강권을 우려한 환경단체의 여론 형성도 한몫을 했습니다.
이는 주민 여론 수렴 없이 허가를 내줬다가 주민 반발로 곤혹을 치르고 있는 인근 무안군과는 대조적인 모습입니다.
▶ 인터뷰 : 최송춘 / 목포환경운동연합 공동의장
- "무안은 시민사회단체가 거의 없쟎습니까? 마을 주민들하고 이런 (의료폐기물 소각시설 허가) 문제를 상의를 해야 되는데 (무안군의) 허가가 떨어진 후에야(주민들이) 알게 된 거죠"
목포시는 하루 22톤의 생활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소각시설 건립도 민원 없이 순조롭게 추진하고 있어, 포화 상태에 놓인 쓰레기매립장 운영 걱정도 덜어냈습니다.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아야 하는 목포시.
최근 보여준 적극적인 환경 행정이 목포와 무안 경계에 잇따라 접수되고 있는 쓰레기 처리 시설 허가 신청에 대해서도 시민 건강 지킴이 역할을 계속 이어갈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C 고익수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