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3 조기 대선을 치른 뒤 지지 후보와 무관하게 유권자의 우울감이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19일 국회에서 열린 한국정당학회·국회입법조사처 공동학술회의에서는 서울대학교 한국사회과학자료원이 실시한 '제21대 대통령선거 전후 유권자 패널조사'를 분석한 연구 결과들이 공개됐습니다.
자료원은 5월 21~30일과 6월 5~13일 전국 18세 이상 선거권자 2,564명을 대상으로 투표행태와 정치 심리, 사회적 태도 등을 조사했습니다.
고려대 강우창·한규만·강준 교수는 이 중 '민주주의와 정신건강 : 선거를 통한 치유' 부분을 분석했습니다.
연구진이 27점 만점에 10점 이상을 받으면 우울증으로 정의하는 검진 도구(PHQ-9)를 활용해 조사한 결과, 대선 이전 6.41점이던 우울증 점수는 대선 이후 5.74점으로 0.68점 낮아졌습니다.
10점 만점에 5.43점이던 민주주의 만족도는 대선 이후 5.71점으로 0.27점 올랐습니다.
특히, 이재명 당시 후보를 지지하지 않은 유권자들도 대선 이후 우울증이 개선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연구팀은 "지난 대선은 정치적 혼란 속에 유권자들이 느꼈던 우울감을 해소하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습니다.
'젠더 인식과 대통령 후보 평가' 부분을 맡은 고려대 박선경·유금희 교수는 대선후보 TV 토론에서 개혁신당 이준석 당시 후보가 여성 신체와 관련해 논란성 표현을 인용한 것이 끼친 영향을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이 후보 발언에 '잘 모르겠다'고 답한 유권자보다 '여성혐오적이고 폭력적인 발언이었다'고 응답한 유권자 사이에서 호감도 감소가 컸습니다.
이같은 경향은 대선 전후를 비교할 때도 똑같이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분석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