텃밭인 광주*전남에서조차 새누리당에게
의석을 빼앗긴 새정치민주연합이 당 쇄신과 차기 당권을 두고 본격적인 논의에 들어갔습니다.
계파 정치를 없애야 한다는 요구와 함께
현실에 안주하고 있는 광주*전남 일부 국회의원들에 대한 개혁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형길 기잡니다.
7.30 재보선에서 충격적인 패배로 당 공동대표와 최고위원이 모두 사퇴한 새정치민주연합이 앞으로 당을 어떻게 운영할 것인지를 대해 논의를 시작했습니다.
대표 권한을 위임받은 박영선 원내대표는 오늘 첫 단계로 당의 원로와 중진 의원들의 의견을 들었습니다
당 내에서는 이른바 친노 계열 의원들과 486 운동권 출신 의원들이 잇따라 계파별 모임을 갖는 등 차기 당권을 노리는
암중모색에 들어갔습니다.
하지만, 선거 패배의 한 원인으로 지적되는 계파 정치가 다시 한 번 표면화된다면 당의 쇄신이 성공할 수 없다는 지적입니다.
인터뷰-박상철/경기대 교수
"비대위부터 각 계파에서 자리를 나눠갖는 등 기존과 똑같은 방식의 쇄신안은 외면을 받을 것"
계파 정치를 개혁하려 하기보다 오히려
안주해 왔던 광주*전남 국회의원들에 대한 변화의 요구도 높습니다.
광주*전남의 정치권이 변화에 실패하고
다시 한 번 계파싸움에 휘말릴 경우 최대
기반인 호남 텃밭이 크게 흔들리면서
당의 존폐가 위협받을 수도 있습니다.
인터뷰-오승용/전남대 연구교수
"가장 큰 과제인 호남 정치 복원은 개혁을 바라는 지역 유권자들의 선택을 받아드리는 것"
스탠드업-이형길
재보선 참패로 갈 길을 잃은 새정치민주연합이 개혁을 앞세운 호남 정치 복원으로 새 생명력을 얻을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kbc 이형길입니다.
댓글
(0)